대구 사회적경제기업이 최근 3년 동안 뚜렷한 양적·질적 성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는 15일 민선 7기 출범 이후 사회적경제 육성 성과를 종합하며 사회적경제가 지역 사회에 뿌리를 확고히 내릴 수 있게 돕겠다고 밝혔다.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의 사회적경제기업 숫자는 2017년 745개에서 이달 기준 1천95개로 3년 간 47% 급성장했다. 사회적경제기업 일자리는 같은 기간 7천257개에서 8천200개로 13% 늘었고, 매출액은 2017년 1천350억원에서 지난해 1천610억원으로 20% 늘었다.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공공구매는 지난해 기준 214억원으로 2017년 118억원보다 약 80% 이상 증가하며 괄목할 성장을 이뤘다. 대구 사회적경제기업의 판로 개척을 돕고자 지난 2017년 출범한 종합유통채널 '무한상사 사회적협동조합'의 매출 규모가 2018년 14억원에서 2020년 56억원으로 300% 증가하는 성과를 거둔 영향이 컸다.
지난 6월 행정안전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된 사회적경제 유통지원센터가 대구도시철도 2호선 용산역 인근 대구기업명품관에 오는 10월 문을 열 예정인 점도 매출 전망을 밝게 하고 있다. 이곳에 대구경북 지역에서 운영 중인 15개 로컬푸드 판매장을 연계하는 한편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지역 사회적경제 제품 판매를 촉진한다.
지역 내 사회적경제 혁신성장 거점을 확보하고 중장기적 발전방향을 설정한 것도 성과다.
산업통상자원부 공모사업으로 유치해 2024년 6월 개관하는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대구시 사회적경제기업 혁신 성장의 중심 역할을 할 예정이다. 국비 140억원 등 총사업비 280억원을 투입, 협업과 네트워킹을 통한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조성하고, 가치확산과 혁신성장을 위한 거점으로 활용한다.
대구시는 지난해 민·관 협력을 통해 '제2차 대구사회적경제 종합발전계획'도 수립했다. 같은 해 실시한 '사회적경제 지역자원 조사' 결과를 토대로 사회적경제인들의 의견을 반영함으로써 현장감과 실현가능성을 살렸다.
계획에 따라 향후 5년 간 추진되는 주요 사업은 ▷공공시장 온라인 플랫폼 구축 ▷사회적경제 기금조성 ▷거버넌스 강화 ▷사회적가치 확산 등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시 사회적경제는 거침없는 성장을 통해 생활 곳곳에 뿌리 내리며 미래공동체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다. 사회적경제가 더 깊게 뿌리 내리고 더 울창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