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자동차 산업 구조가 미래차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런 변화에 대한 대응 역량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차부품산업 비중이 큰 대구지역은 상대적으로 더 준비가 지지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연구원(한자연)은 19일 산업동향 보고서를 통해 올해 현재 국내 자동차부품업계의 미래차 부품 국산화율은 전기차 68%, 수소차 71%,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38% 등으로 낮다고 분석했다.
미래차 부품 국산화에 뛰어든 대구 자동차부품기업도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대구시가 올해 초 지역 차부품업체를 전수 조사한 결과, 미래차 핵심부품 기술개발 또는 생산에 돌입한 곳은 전체 1천122개사 중 5.4%인 61곳에 불과했다.
그나마 최근 대구시 조사에서는 미래차 전환이 시급한 내연기관 중심 1차 협력업체 18개사 중 11개사가 준비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지만, 2·3차 협력업체 등 대다수 기업들은 전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대응 여력이 부족한 상황이다.
미래차 연구개발(R&D)에 필요한 인적 자원도 절대 부족하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미래차 산업의 기술인력 수요가 연평균 5.8%씩 증가해 2028년이면 8만9천69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2018년 기준 친환경차 인력은 4만2천명에 불과했고, R&D·설계·디자인·시험평가 인력은 2만1천명, 소프트웨어 인력은 1천명에 그쳤다.
대구지역 차부품업계도 인력 수급이 미래차 준비에 가장 큰 애로사항이라고 입을 모은다.
대구의 한 차부품업체 대표는 "우수한 소프트웨어 인력을 지방으로 오게 만들 유인이 부족하다"며 "인재 확보 경쟁에 밀려서는 근본적으로 미래차 시대를 대비할 수 없다"고 걱정했다.
리서치코리아가 2019년 말 전기·자율주행차 관련 대구 262개 기업 실태를 분석한 결과, 업체당 평균 R&D 인력은 2016년 13.59명, 2017년 13.12명, 2018년 12.42명으로 오히려 줄고 있다.
한자연 관계자는 "미래차 분야의 석·박사급 신규 인력을 양성하는 등 인적자원 지원 정책을 안정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