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도쿄올림픽 기간 일본 방문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1년 7개월 만의 한일 정상 간 공식 만남도 무산됐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 같이 전했다. 박 수석은 "한일 양국 정부는 도쿄올림픽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양국 간 역사 현안에 대한 진전과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에 대해 의미 있는 협의를 나누었다"며 "양측 간 협의는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어 상당한 이해의 접근은 있었다"고 했다. 박 수석은 그러나 "정상회담의 성과로 삼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며, 그 밖의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와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 밖의 제반 상황'이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이번 문 대통령 방일 무산 이면에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소마 히로히사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 망언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소마 공사의 '막말'이 방일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말에 "용납하기 어려운 발언이었다"며 "국민 정서를 감안해야 했고 이후 청와대 내부 분위기도 회의적으로 변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오늘 일본 관방장관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발표한 것에 주목한다"며 "일본 정부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하고, 향후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소마 공사는 문 대통령의 외교를 '마스터베이션'(자위)이라고 폄훼했으나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대사와 관방장관이 유감을 표했을 뿐, 어떠한 공식 징계 발표도 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 일본 정부는 최근 발간한 '2021년 방위백서'에 독도를 자국 땅으로 명시했다.
'정상회담 개최 및 실질적 성과 도출'이라는 한국 측의 조건에 대해 일본 측이 전폭 수용하지 않은 점도 문 대통령의 방일 및 한일 정상회담 무산의 배경으로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이 한일 정상이 만날 좋은 기회로 기대했는데, 아쉬움이 크다"며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임기 말까지 계속 일본과 대화 노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국 정부 대표단 대표 자격으로 도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