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방일 안 해…靑 "日 소마 막말, 용납 어려운 발언" (종합)

양국 공식 만남 무산…독도 영유권 주장도 영향 끼쳐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19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한일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수현 국민소통수석이 19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룸에서 한일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도쿄올림픽 기간 일본 방문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1년 7개월 만의 한일 정상 간 공식 만남도 무산됐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이 같이 전했다. 박 수석은 "한일 양국 정부는 도쿄올림픽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양국 간 역사 현안에 대한 진전과 미래지향적 협력 방향에 대해 의미 있는 협의를 나누었다"며 "양측 간 협의는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되어 상당한 이해의 접근은 있었다"고 했다. 박 수석은 그러나 "정상회담의 성과로 삼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며, 그 밖의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와 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그 밖의 제반 상황'이라는 표현으로 미루어 이번 문 대통령 방일 무산 이면에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 ▷소마 히로히사 주한일본대사관 총괄공사 망언 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청와대 고위 관계자 역시 소마 공사의 '막말'이 방일하지 않기로 한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묻는 말에 "용납하기 어려운 발언이었다"며 "국민 정서를 감안해야 했고 이후 청와대 내부 분위기도 회의적으로 변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오늘 일본 관방장관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발표한 것에 주목한다"며 "일본 정부는 적절한 후속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하고, 향후 이런 불미스러운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소마 공사는 문 대통령의 외교를 '마스터베이션'(자위)이라고 폄훼했으나 일본 정부는 주한 일본대사와 관방장관이 유감을 표했을 뿐, 어떠한 공식 징계 발표도 하지 않은 상황이다. 또 일본 정부는 최근 발간한 '2021년 방위백서'에 독도를 자국 땅으로 명시했다.

'정상회담 개최 및 실질적 성과 도출'이라는 한국 측의 조건에 대해 일본 측이 전폭 수용하지 않은 점도 문 대통령의 방일 및 한일 정상회담 무산의 배경으로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이 한일 정상이 만날 좋은 기회로 기대했는데, 아쉬움이 크다"며 "한일 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임기 말까지 계속 일본과 대화 노력을 해나갈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한국 정부 대표단 대표 자격으로 도쿄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