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애인 최초 히말라야14좌 완등 김홍빈 대장 "하산 중 실종 상태"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 19일 광주시산악연맹 등에 따르면 김 대장은 현지 시각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 시각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 고봉인 브로드피크(8천47m)를 등정했다. 사진은 베이스캠프에서 포즈를 취한 김홍빈 대장.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한 것에 대해 "코로나로 지친 국민에게 또 하나의 자랑과 희망을 줬다"며 축하의 뜻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SNS에 올린 글에서 "김홍빈 대장은 과거 매킨리 등반 도중 조난사고로 열 손가락을 모두 잃었지만 오히려 그때부터 새로운 도전을 시작했다. 이번 브로드피크 등반으로 8천m가 넘는 히말라야 14봉우리를 모두 등정한 세계 최초 장애인으로 이름을 남기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연합뉴스

'열 손가락 없는 산악인'으로 알려진 김홍빈(57) 대장이 장애인 최초로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최근 전해진 가운데, 19일(한국시간 기준) 오후 김홍빈 대장이 하산 도중 실종 상태라는 소식이 추가로 전해졌다.

이날 아시안산악연맹 측은 연합뉴스에 "김홍빈 대장이 정상 등정 후 하산 과정에서 실종됐다는 연락을 받았다. 현지 해외 등반대가 구조에 나섰지만 실패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알렸다.

김홍빈 대장은 앞서 현지시간 기준으로 어제인 18일 오후 4시 58분(한국시간으로는 18일 오후 8시 58분) 파키스탄령 카슈미르 북동부 카라코람산맥 제3고봉 '브로드피크'(해발 8천47m)를 등정했고, 이에 장애인으로는 처음으로 히말라야 14좌를 모두 등정하는 기록을 썼다.

히말라야 14좌는 해발 8천m를 넘는 에베레스트, 케이투(K2), 칸첸중가, 로체, 마칼루, 초오유, 다울라기리 1봉, 마나슬루, 낭가파르바트, 안나푸르나 1봉, 가셔브룸 1봉, 브로드피크, 가셔브룸2봉, 시샤팡마를 가리킨다.

그런데 이 브로드피크 정상을 밟은 후 내려오는 과정에서 조난을 당했다는 전언이다.

김홍빈 대장은 브로드피크 해발 7천900m 부근에서 조난된 후 등정 5시간정도만인 오후 9시 58분쯤 구조 요청을 보냈다. 그러나 구조 요청을 받고 출동한 현지 해외 등반대는 현재까지 김홍빈 대장을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19일 낮 자신의 SNS를 통해 김홍빈 대장의 브로드피크 등반 및 히말라야 14좌 완등에 대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지친 국민들에게 또 하나의 자랑과 희망을 주었다"며 축하 인사를 전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축하 인사 말미에서 "대원들과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오길 바란다"고 했는데, 그 직후 김홍빈 대장이 실종됐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지면서 향후 구조 작업이 재개될지 여부 등에 대한 산악인 및 국민들의 관심이 향하는 모습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