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주를 MICE산업 메카로”…경주시,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추진

경주시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

경주시가
경주시가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을 추진하는 경주화백컨벤션센터(하이코) 일대 전경.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시가 국제회의와 전시, 컨벤션 등 마이스(MICE) 산업 메카를 목표로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을 추진한다.

25일 경주시에 따르면 국제회의 복합지구는 '국제회의산업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문회의 시설과 그 주변에 문화산업, 숙박, 쇼핑, 관광 및 교통시스템 등의 시설이 집적된 구역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국제회의 복합지구 육성·진흥계획을 승인하고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면 관광진흥법상 관광특구에 준해 재정이 지원되고 용적률 완화나 교통유발금 등 각종 부담금 감면, 활성화 사업비 지원과 같은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 회의 참가자들의 쇼핑·관광 활동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대구(엑스코)와 부산(벡스코), 인천(송도컨벤시아),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 경기 고양(킨텍스) 등 5곳이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돼 있다. 정부는 향후 5곳 정도를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2월 보문관광단지 내 경주화백컨벤션센터(하이코) 주변을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신청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나선 상태로, 다음 달 쯤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온다.

경주시는 2014년 이미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된 데다 2012년 APEC교육장관회의, 2015년 세계물포럼, 2016년 유엔NGO컨퍼런스, 2017년 세계유산도시기구 세계총회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른 점을 장점으로 꼽고 있다.

경북도와 함께 추진하는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를 위해서도 반드시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 개최지 최종 선정은 2023년쯤으로 예정돼 있다"며 "내년 5월 경주시가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면 APEC 유치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