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19 영향, 자영업자 은행대출 67조원 ↑

직전 1년 6개월 대출 증가분보다 84% 많아…5월말 대출 잔액 400조원 넘겨

자영업자의 절규. 매일신문 DB
자영업자의 절규. 매일신문 DB

코로나19 사태 이후 1년 6개월 동안 자영업자가 은행에서 빌린 빚이 67조원이나 급증했다. 영업이 어려웠던 탓에 대출에 기댄 이들이 크게 늘었다는 뜻이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은행권의 기업 대출 잔액은 1천22조1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유행 직전인 2019년 12월 말보다 153조1천억원(17.6%) 늘어난 수치다.

대기업 대출이 20조8천억원(13.7%), 중소기업 대출이 132조3천억원(18.5%) 각각 증가했다. 중소기업 가운데도 특히 자영업자를 포함하는 개인사업자 대출이 66조9천억원(19.8%)이나 늘었다.

이 기간 자영업자의 은행 대출 증가분을 직전 동기(2018년 6월 말~2019년 12월 말 36조4천억원)와 비교하면 83.8% 많은 것이다.

자영업자의 은행 대출 잔액은 2018년 말 313조8천억원에서 2019년 말 338조5천억원으로 1년 만에 24조7천억원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 말 386조원으로 47조원 급증했고, 올해 들어서는 5월 말 402조2천억원으로 400조원을 처음 넘었다.

지난해 이후 자영업자 대출이 급증한 건 코로나19 장기화 영향이 컸다. 영업부진이 이어지자 매출이 급감했고, 인건비와 임대료 등 고정비는 예전만큼 부담해야 했다.

연명을 도와주던 은행 대출도 한도가 차면서 추가로 대출하기도 어려운 처지다. 한국은행이 예고한 대로 올 하반기 기준금리를 정상화하면 대출 금리도 함께 올라 소상공인 빚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정부가 보증을 서서 은행이 소상공인 대출 한도를 높이도록 공격적으로 요구하고 정책자금 대출은 1인당 5천만원 정도로 대폭 확대해야 한다. 또 직원을 고용하면 대출 상환액을 일부 차감해주는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