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경북 자동차 부품업체들이 현재 떠안은 각종 위기에 대응하려면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를 이끌고, 친환경차 전환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21일 '대구경북지역 자동차부품산업 리스크 검토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경북 차 부품 생산과 부출은 코로나19 타격에서 헤어나던 지난해 하반기 들어 회복세를 보였다. 그러나 올 상반기 전 세계에서 완성차 주문이 몰리자 차량용 반도체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완성차업체 생산 차질과 부품사의 납품 지연으로 이어졌다.
보고서는 지역 차부품사에 대한 반도체 수급불균형 악영향이 올해 2~4분기에 걸쳐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향후 전기차 생산이 늘면 이 같은 수급불균형이 재발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친환경차 전환에 대응해야 하는 점도 부담으로 작용 중이다. 차 부품사들은 국내외 완성차 업계와 소비자들의 친환경차 생산·구매 수요에 대응해 친환경차 부품 생산에 박차를 가해야 할 상황이다.
배터리와 구동모터 등 핵심부품(긍정적 부품군), 조향·현가·제동 장치 등 범용제품(중립적 부품군) 생산은 지속되겠으나 내연기관 부품(부정적 부품군) 제조사는 사업 축소 위험이 크다.
지역 부품사 중 친환경차 전환에 소극적인 업체가 많거나 기업들이 현재 생산 구조를 유지할 경우 지역 경제에도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한은 대구경북본부는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와 생산 증대가 시급한 점을 볼 때 완성차 업체 뿐 아니라 지역 부품사들도 차 부품 생산 역량을 반도체 국산화에 보탤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 파리기후협약에 따라 2050년까지 내연기관 승용차 판매가 금지될 예정인 만큼 친환경차 산업 전환할시기를 앞당겨야 한다고 제안했다.
배한이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경제조사팀 조사역은 "지역 차 부품사들은 대학·연구소와 협업해 자사 역량을 차량용 반도체 국산화에 보태고 생태계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지자체 정책 지원과 기업의 친환경차 산업 전환 의지도 투트랙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