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로 2040년 인구 1천만명, GRDP 491조원 시대 연다

부산역 전경. 자료사진. 연합뉴스
부산역 전경. 자료사진. 연합뉴스

부산과 울산, 경남도가 초광역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에 본격 돌입했다.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합동추진단(이하 합동추진단)은 29일 울산 전시컨벤션센터에서 개소식과 함께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협약식을 개최했다.

행사에는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김사열 위원장, 자치분권위원회 김순은 위원장, 국회의원, 부울경 3개 시·도지사 및 시·도의회 의장을 비롯해 20여 명이 참석했다.

합동추진단은 지난 6월 행정안전부로부터 한시기구로 승인받아 3개 시·도 직원이 파견돼 7월부터 업무를 시작했다. 추진단은 '부울경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를 목표로 구성된 조직으로 1국 2과 6팀 25명으로 구성돼 있다.

합동추진단은 내년 전국 최초 특별지방자치단체 출범을 목표로 ▲특별지방자치단체 기본계획 수립 ▲규약 제정 ▲광역의회 설치 종합계획 수립 ▲광역사무 발굴 ▲국가이양사무 발굴 ▲대외협력 등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에 필요한 다양한 사무를 공동으로 추진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합동추진단이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함에 따라 부산, 울산, 경남 상생발전을 위한 '부울경 메가시티' 실현에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

부울경 자치단체는 초광역협력을 통해 2040년까지 인구를 1천만 명으로 늘리고, GRDP(지역내총생산)를 현재 275조원에서 491조원으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지역의 초광역적 협력 논의를 지원하기 위해 지난 4월 27일 분권위 및 균형위 주관으로 행안부, 기재부, 국토부, 산업부 등이 참여하는 '메가시티 지원 범부처 TF'를 구성하기도 했다.

범부처 TF에서는 자치단체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10월 말까지 종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행사에 참석한 전해철 행정안전부 장관은 "부울경 메가시티는 지역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수도권과 비수도권이 상생하는 국가균형발전의 새로운 모델로 자리잡게 되기를 기대한다"며, "행정안전부는 부울경 메가시티의 동반자라는 입장에서 합동추진단과 상시적으로 소통하면서 각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울경 특별지자체 설립은 수도권 일극주의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에 완전히 새로운 해결책을 공식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하며 "부울경이 수도권에 이은 또 하나의 국가발전축으로 성장해 나간다면 더 이상 중앙집권형 발전이 아닌 지방이 스스로 권한과 예산을 갖고 균형발전을 주도하는 나라로 국가 경영의 패러다임을 전환 시킬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