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근대골목은 중구에 자리 잡은 골목길. 이름 그대로 근대 대구의 모습이 엿보이는 곳이다. 대구는 6·25전쟁 피해를 비교적 적게 입은 지역이라 근대 역사의 흔적이 잘 유지됐다. 이 자산을 활용한 교육 활동도 활발하다. 특히 대구시교육청은 매일신문사, 대구시, 중구청과 함께 이곳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대구 역사와 문화를 일깨우는 데 관심을 쏟고 있어 눈길을 끈다.
◆친구들과 누비며 배우는 근대골목
단순히 학생들이 골목을 거닐며 골목문화해설사의 설명을 듣도록 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갔다.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가 대구 중·고교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근대골목 투어 중 RPG 방식을 도입한 프로그램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RPG는 롤 플레잉 게임(Role Playing Game)의 약자. 이는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면서 문제(미션)를 풀어가는 방식의 게임을 이르는 말이다. 요즘 학생들은 게임에 익숙한 세대. 이들이 좀 더 흥미 있게 근대골목을 체험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RPG 방식을 근대골목 투어에 가미한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학교당 보통 2시간 내외로 진행된다. 참여 학생들은 반별 또는 동아리별로 10명 이내로 조를 구성해 근대골목을 거닐면서 골목문화해설사의 설명과 함께 장소에 따라 주어지는 미션을 해결하는 체험활동을 하고 있다.

학생들도 이 같은 활동을 반긴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야외 활동이 제한적인 터라 이런 기회가 더 기억에 남는다. 이 프로그램을 체험한 학생들은 "작년엔 근대골목에 나와보지 못했는데 이렇게 나오니 소풍 온 것 같다", "직접 눈으로 보고 설명을 들을 수 있어 더 좋다"는 반응들을 보였다.
그래도 코로나19가 숙지지 않은 터라 야외 활동에 부담이 있는 것 역시 사실. 이런 데 신경이 많이 쓰이거나 일정상 이유로 현장학습을 진행하지 못하는 학교를 위한 게 '찾아가는 해설사' 프로그램이다.
골목문화해설사는 학교를 찾아 2시간여에 걸쳐 근대골목 곳곳을 담은 사진과 동영상, 역사 자료를 보여주면서 그 안에 얽힌 역사 이야기도 들려준다. 올해 12개교 1천300여명이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겠다고 신청했다.
초등학생을 위한 '대구사랑 골목탐방 체험학습'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올해 30개교 105개 팀에서 3천532명이 이 프로그램에 참가하겠다고 신청했다. 이 가운데 상반기에 27개교 76개 팀 2천239명이 근대골목을 돌면서 대구 근대문화의 발자취를 더듬었다. 이 프로그램에서도 강사진이 교실로 찾아가는 과정을 함께 운영 중이다.
◆일러스트와 사진에 담는 근대골목

대구 근대골목은 전국적으로 널리 알려졌다. 다만 다른 유명 관광지와 마찬가지로 꾸준히 관심을 유도하고 볼거리, 즐길거리를 보태고 다듬는 건 과제다. 이벤트는 이런 곳들에 대한 흥미를 유도하고 활력을 다시 불어 넣는 데 좋은 수단 중 하나다. 대구 근대골목 관련 공모전을 여는 것도 이 때문이다.
매일신문사는 중구청과 함께 근대골목을 주제로 한 공모전 두 개를 진행한다. '근대골목 일러스트 공모전'과 '근대골목 스마트폰 한복사진 공모전'이 그것이다. 캔버스와 피사체에 근대골목과 근대골목에서 즐기는 모습을 담아보는 이벤트인 셈이다.
'근대골목 일러스트 공모전'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진행되는 행사. 근대골목의 다양한 모습을 일러스트로 표현해 응모하면 된다. 풍경, 삽화, 캐릭터, 상상화, 포스터 등 다양한 형식으로 그려도 무방하다. 학생부와 일반부로 나눠 공모하는데 1인당 최대 5개 작품까지 접수할 수 있다.
작품 주제는 ▷근대골목과 관련한 다양한 풍경(거리, 건물, 사람 등) ▷대구야행 등 근대골목에서 진행되는 축제 관련 풍경 ▷골목투어 1~5코스의 거점별 경관 등이다. 작품을 제출할 때는 제출자의 이름과 연락처를 반드시 기재해야 한다.

올해는 근대골목 관광사진 공모전이 사라졌다. 그 대신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게 꾸민 것이 '근대골목 스마트폰 한복사진 공모전'. 근대골목에서 한복을 입고 스마트폰으로 사진을 찍어 응모하면 된다. 1인당 5매 이하로만 접수할 수 있다. 제출 시 작품명과 제출자 이름, 연락처를 적어야 한다.
한복이 없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근대골목의 근대문화체험관 계산예가(중구 서성로 6-1)에서 한복을 대여한다. 고해상도(2천pixel 이상) 사진을 제출해야 하는데 JPG, JPEG, PNG 파일로 등록할 수 있다.
두 공모전 모두 10월 31일까지 이메일로 작품을 접수한다. 공모전 담당자 이메일 주소는 'golmokpic@daum.net'. 입상 작품은 반환하지 않으며 중구청 자료집 도록 제작, 각종 홍보물, 홈페이지와 SNS 게재 등 공익적 사업에 사용할 수 있다는 조건이 붙는다. 문의는 매일신문 교육문화센터(053-756-9225)로 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