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오후 대구 한 대형마트에서 만난 직장인 한모(30) 씨는 "확 오른 농축산 물가에 깜짝 놀랐다"고 했다.
수박 1통 가격만 지난해 비슷한 시기 1만9천800원에서 이날 2만7천원으로 36%나 뛰었다. 사과도 8개 한팩 가격이 4천300원에서 7천400원으로 72% 올랐다.
한 씨는 "여름이라 가족과 함께 과일과 고기를 먹으려고 보니 평소보다 너무 비싸 당황했다"고 말했다.
농·축·수산물을 중심으로 장바구니 물가 오름세가 심상찮다.
이날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대구경북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대구가 2.8%, 경북이 3% 올라 각각 9년 1개월, 9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농·축·수산물이 대구 11.3%, 경북 10.9% 올라 전반적인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이날 취재진은 1년 전·후 식탁 물가를 현장에서 비교하고자 대구 한 대형마트에서 10만원으로 장을 봤다. 품목은 수박과 사과, 달걀, 적상추, 시금치, 마늘, 쌀, 삼겹살 등 8개 농축산물로, 이날 기준 가격과 전년 동기 기준 가격을 각각 적용했다.
그 결과, 10만원으로 살 수 있는 식재료 수량이 크게 줄었다. 지난해 가격 기준으로는 사과 16개와 30개들이 달걀 1판, 수박 1통과 4분의 1통, 시금치 200g, 적상추 200g, 마늘 30쪽, 쌀 10㎏, 삼겹살 300g 등을 살 수 있었다.
그러나 올해 가격 기준으로는 사과 10개와 수박 1통, 시금치 120g, 적상추 160g, 마늘 24쪽 등으로 품목별 구매량이 줄었다. 달걀(18개)과 쌀(4㎏), 삼겹살(200g)도 마찬가지였다.
이날 기준 전년 대비 가격 상승률은 사과(72.1%), 시금치(60.5%), 수박(36.4%) 등의 순이었다. 이어 달걀(24.1%), 적상추(20.2%), 마늘(17.0%), 쌀(9.4%), 삼겹살(7.4%) 가격도 줄줄이 올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