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로봇 테스트필드, 지역 균형발전이 입지 기준 돼야

미래 로봇산업 육성의 핵심 인프라로 꼽히는 '로봇 테스트필드' 국책사업 부지 선정이 9일 앞으로 바짝 다가왔다. 총 3천억 원이 투자되는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은 연평균 100조 원대로 예상되는 서비스 로봇 세계 시장 선점을 위한 핵심 인프라다. 대구를 비롯한 경남 광주 부산 서울 충남 등 6개 지자체가 유치계획서를 제출하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

우리는 이들 도시 가운데 대구야말로 로봇 테스트필드 최적지라고 본다. 대구는 일찌감치 로봇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지목하고 전후방 산업 육성에 가장 적극적으로 뛰어들었고 성과도 거뒀다. 대구에는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이 소재해 있으며 로봇산업클러스터도 어느 정도 형성돼 있다. 2010년 23개에 불과하던 지역 내 로봇 관련 기업은 2019년 202개로 10년도 안 돼 9배 이상 늘어났다. 대구는 비수도권 최대 로봇산업 도시다.

로봇 테스트필드는 대구 로봇산업에 날개를 달아줄 수 있다. 5G 기반 첨단 로봇 제조 실증 기반과 더불어 로봇 테스트필드가 들어설 경우 '대구=글로벌 로봇 클러스터' 퍼즐도 완성된다. 대구에 로봇 테스트필드가 와야 할 이유와 명분은 이처럼 차고도 넘치지만 어차피 도시 간 유치 경쟁에서 이겨야 하기에 섣부른 낙관은 금물이다. 번번이 국책사업 유치 경쟁에서 고배를 마셨던 대구는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다는 각오로 이번 경쟁에 임해야 한다.

항간에 로봇기업이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서울이 이번 경쟁에서 단연 유리하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 꺼림칙하다. 게다가 이번 심사에서 균형발전 항목 점수가 미미한 점도 석연치 않다. 이건희 미술관 사례에서 보듯 문재인 정권은 말로만 국가균형발전을 외쳐 놓고, 정작 정치 논리와 힘의 논리로 수도권 또는 특정 지역 편중 정책을 펴왔다.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은 그런 마인드로 접근해서 될 사안이 아니다. 로봇 테스트필드 사업을 대한민국 로봇산업 육성과 국가균형발전,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점은 두말할 나위조차 없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