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지역 불법 현수막과의 전쟁…선거철 대비 대책 마련 분주

영주, 전화번호 기재 실명제…영천·영양·의성군 도입 검토
김천, 지정게시대 10곳 추가…구미, 경찰 협조 요청하기도
현수막 지정게시대 추가하고, 폐현수막 재활용 대책도 마련

경북 안동 시내를 점령했던 현수막들. 매일신문 DB
경북 안동 시내를 점령했던 현수막들. 매일신문 DB

경북 자치단체들이 무분별하게 설치돼 도시 미관을 해치는 현수막과 전쟁을 벌이고 있다.

광고주 뿐 아니라 광고업체 실명제를 도입해 책임을 강화하는가 하면 지정 게시대 추가 설치로 불법 현수막 근절에 앞장서는 등 대책 마련으로 부산하다.

영주시는 내년 1월부터 현수막의 앞면 또는 뒷면에 광고업체명과 전화번호를 의무적으로 기재하도록 하는 '현수막 실명제'를 도입한다. 광고주에게만 책임을 묻던 방식을 넘어 광고업체에게도 책임을 물어 옥외광고물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서다.

영천시와 영양군, 의성군 등 다른 경북 시·군들도 현수막 실명제를 도입하기로 하고 사전 계도에 나서고 있다.

불법 현수막 설치가 잦은 곳에 아예 지정게시대를 설치해 늘어나는 옥외광고 수요에 대응하기도 한다.

김천시는 올해 행정용 및 일반용 현수막 지정게시대 10곳을 추가해 청결한 가로환경 조성에 나선다. 봉화군도 유동 인구가 많고 불법 현수막 설치가 잦은 장소 2곳을 선정, 지정게시대를 설치할 계획이다.

정치 행사 또는 집회시위와 관련된 현수막 때문에 속을 썩이는 자치단체들은 단호한 대응책을 들고 나왔다. 행사나 집회 장소와 상관없이 무분별하게 설치된 현수막이 있으면 적극 단속해 수거에 나서고 있다.

안동시는 최근 행정안전부에 집회행위 사용 현수막 관련 법령 해석을 질의까지 한 뒤 집회 미개최로 인한 불법 현수막 판단 권한이 자치단체에 있다는 답변을 받아 정비 작업을 벌였다.

구미시는 경찰에 협조 공문을 보내 집회 종료 시 현수막을 자진 수거하는 조건으로 신고 접수를 받아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폐현수막을 두고 골머리를 앓는 자치단체도 있다. 폐현수막은 페인트, 섬유질로 제작돼 특정 대기 유해물질을 발생하는 데다 길이가 길어 소각로 투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예천군은 수거해 보관 중인 폐현수막을 폐기물 수거용 마대로 제작해 재활용하는 계획을 검토 중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내년 선거철이 다가오고 있어 각종 정치 관련 현수막이 대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관련 법과 규정에 따라 설치·운영될 수 있도록 적극 계도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