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홍의락 부시장 "10년전부터 준비…로봇 표준화 대구서 이뤄질 것"

"로봇산업 정책 이미 글로벌 수준, 실증 과정 자료는 대구의 경쟁력"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13일 오후 대구시청에서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대구 유치 확정 내용을 브리핑하고 있다. 김윤기 기자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이 13일 오후 대구시청에서 국가로봇테스트필드 대구 유치 확정 내용을 브리핑하고 있다. 김윤기 기자

대구시가 13일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유치를 확정했다. 다음은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유치계획위원회 단장으로 공모과정을 진두지휘 한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과의 일문일답.

-유치전이 치열했다. 대구시가 앞선 요인은?

▶로봇산업은 대구시가 10년 전부터 꾸준히 육성해 왔다. 2015년부터 로봇 생태계조성에 460억원을 투자했거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자체로서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기반을 갖췄고 의지도 확고했다. 대구로 이 사업을 가져오려는 노력도 일찍부터 이뤄졌다.

- 효과는 어느정도로 기대할 수 있나

▶이미 2019년에 서비스로봇이 제조로봇을 시장규모에서 앞서가기 시작했다. 앞으로는 서비스로봇 시장이 훨씬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그간 대구시가 제조로봇에 비해서 서비스로봇은 약한 측면이 있었는데 그런 염려를 일소할 수 있는 게 국가로봇테스트필드다. 결국 이번 유치로 로봇 분야 전체 스펙트럼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도시가 됐다. 표준화 등 이곳에서만 이뤄질 수 있는 일들이 많다. 아울러 실증 과정에서 관련 데이터가 대구에 계속 축적이 된다는 점도 대구의 경쟁력이 될 거다.

-대구가 글로벌 로봇도시로 부상할 수 있겠는가

▶대구시는 이미 글로벌 수준의 로봇산업정책을 펼치고 있다. 글로벌로봇클러스터(GRC)를 구축하고 17개국과 지속적으로 연계 노력을 하고 있다. 이제 국내 서비스로봇 실증의 중심이 대구에 생기는 셈이고, 이를 계기로 대구와 세계가 연결될 것이다.

-경북도와의 협력도 유치 성공요인으로 꼽았다.

▶경북도는 포항을 내세울 준비를 했으나 대구가 우세하다고 판단, 상생협력차원에서 대구를 적극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철우 지사는 11일 유치지지하는 동영상도 촬영해 보내주셨다. 구미와 포항이 대구와 연계해, 특히 후방에서 서로 지원하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 온 것도 큰 힘이 됐다.

- 예타조사가 남았다. 후속 과제는?

▶이제 부지 선정이 대구로 된 것이고 실제로 로봇기업들이 대구에 많이 와서 전·후방 생태계가 형성되는 게 중요하다. 예비타당성조사는 절차적인 부분이고 통과에 크게 문제가 될 부분은 없다.

- 다음 프로젝트나 구상은?

▶대구시가 낸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구색을 갖춰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내부적으로는 '대구 전기차모터밸리'를 기획하고 있고, 배터리 정비 생태계를 갖추는 '대구 배터리파크'도 구상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와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한다면 대구시의 미래는 밝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