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제1야당과의 합당 포기' 안철수 대표 정치적 미래는?

정치 약점 '철수 이미지' 재부각…대통령 자리에 집착도 드러나
와신상담하며 경쟁력 키운 후 막판 野 단일화 협상 노릴 듯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과의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16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의힘과의 '합당 결렬'을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과의 합당 협상 결렬을 공식 선언한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향후 행보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안 대표가 적지 않은 정치적 부담에도 지난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야권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공개적으로 한 제1야당과의 통합 약속을 깨는 선택을 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안 대표의 가장 큰 정치적 약점인 '철수(撤收) 이미지'가 다시 부각됐고, 대통령 자리에 대한 집착도 드러냈기 때문에 수습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안 대표는 16일 가진 기자회견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는 입장발표를 유보했다. 안 대표는 "앞으로 계획은 향후 따로 말씀드릴 시간을 갖겠다"며 "우선은 당을 추스르고 당원, 지지자들과 함께 논의해 길을 찾겠다"고 밝혔다.

정치권에선 안 대표가 이른바 제3지대에서 당분간 와신상담(臥薪嘗膽)하면서 자신만의 경쟁력을 가다듬은 후 연말연시 제1야당 대통령 후보와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 협상을 벌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난 4·7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시 행보를 반복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관건은 안 대표를 포함한 이른바 제3지대가 그 때까지 얼마나 덩치(세력)를 키우느냐다.

다양한 시나리오가 거론된다. 첫째는 국민들이 안 대표가 추구하는 정치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해 다시 안 대표에게 지지를 다시 보내는 상황이다. 그러기 위해선 안 대표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야 한다.

국민의당 관계자는 "안 대표가 협상결렬을 공개적으로 선언할 때는 난관을 돌파할 나름의 방안도 마련한 것으로 봐야 한다"며 "기존 대선주자들과 다른 차별성을 드러낼 수 파격행보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두 번째는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 등 기존 정치권과 거리두기를 원하는 명망가들을 영입해 세력을 키우는 방법이다. 안 대표는 김 전 부총리와의 연대가능성에 대해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고 더 좋은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는 생각을 하는 분이라면 어떤 분이라도 만나서 의논할 자세가 돼 있다"고 답했다.

여야의 내부 대선경쟁이 불꽃을 뿜는 것을 넘어 진흙탕 싸움으로 변질될 경우 힘을 받을 수 있다.

마지막은 여당과 제1야당이 차기 대통령 주자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그 과정에서 비주류로 밀려난 인사들이 재기의 발판으로 제3지대를 활용하는 경우도 생각해볼 수 있다.

정치권에선 역대 대선 결과가 박빙의 승부였다는 점을 고려하면 거대 양당 비주류 인사들이 안 대표가 이끄는 제3지대로 몰릴 경우 내년 대선과 차기 총선에서 나름의 목소리를 낼 수도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