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국민의당 대표의 딸 안설희 씨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바이러스가 어떤 과정을 통해 인체 세포에 침입하기 수월한 형태가 되는지 규명한 논문(A glycan gate controls opening of the SARS-CoV-2 spike protein)의 제1저자로 최근 등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22일 정치권 등에 따르면 안설희 박사후 연구원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SD) 로미 아마로 교수팀이 지난 19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화학(Nature Chemistry)에 게재한 해당 연구논문의 제1저자로 등재됐다.
▶해당 논문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 인체의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2(ACE2)에 결합해 침투하는 과정을 단백질 분자 구조 변화 수준에서 규명했다. 스파이크 단백질의 겉을 덮고 있는 '글리칸'이 인체 세포 침투의 관문 역할을 한다는 것.
아마로 교수는 이번 연구를 두고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이 실제로 어떻게 열리고 또한 감염이 시작되는지 밝혀냈다"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스파이크 단백질의 중요한 비밀을 규명한 것이다. 글리칸이라는 관문이 없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본질적으로 전염력을 잃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의 공동연구자인 오스틴 텍사스대(UTAustin) 제이슨 매클렌런 교수도 "글리칸 관문이 없으면 코로나19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영역(RBD)이 인체 세포를 감염시킬 수 있는 형태로 바뀔 수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아마로 교수는 "약물을 사용해 글리칸 관문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면,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감염 활동을 시작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활용한 코로나19 치료제 개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1989년 서울 태생으로 올해 나이 33세인 안설희 씨는 앞서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박사 과정을 마친 후 UCSD에서 이론 화학을 연구하고 있다.
코로나19 연구와 관련해서는 지난 2020년 11월 23일에 코로나19 3차원 모양 시연 학술과 관련, 슈퍼컴퓨팅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세계 슈퍼컴퓨터 학회 고든벨 특별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와 관련해서는 외동딸인 안설희 씨, 아버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어머니(안철수 대표 부인) 김미경 서울대 의대 교수 등 3명 가족의 연결고리도 주목된 바 있다.
의사 면허를 가진 안철수 대표와 현직 의료인인 김미경 교수가 지난 2020년 3~4월 4·15 총선 전후로 2차례에 걸쳐 신천지 사태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해 방역 인력이 부족했던 대구의 계명대학교 대구동산병원을 찾아 진료 자원봉사를 한 바 있어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