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도시철도 파업 결정…내달 '시민의 발' 멈추나

무임손실액 보전, 근무형태 개선 요구…대구 비롯 서울·부산·인천 도시철 노조도 파업 결정
51%는 단체 행동 동참 안 해…실제 운행 차질 크지 않을 듯

대구 등 전국 4개 도시철도운영기관 노조가 파업을 결정하면서 이르면 다음달 중 대구 도시철도도 멈춰설 전망이다. 대구지하철노조는 무임손실액의 정부 보전과 현재 3조2교대의 근무형태를 4조2교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매일신문 DB
대구 등 전국 4개 도시철도운영기관 노조가 파업을 결정하면서 이르면 다음달 중 대구 도시철도도 멈춰설 전망이다. 대구지하철노조는 무임손실액의 정부 보전과 현재 3조2교대의 근무형태를 4조2교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매일신문 DB

이르면 다음달 중 전국 도시철도가 파업으로 멈춰설 전망이다.

대구에서도 근무형태 변경과 무임손실액을 정부가 보전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면서 이르면 다음달 말부터 파업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지하철노동조합(이하 지하철노조)은 지난 19일까지 총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한 결과 노조원의 80.1%가 찬성했다고 23일 밝혔다. 대구도시철도공사 전체 직원의 49%가 속한 지하철노조는 무임손실액 일부의 정부 보전을 요구하는 한편 사측에는 현재 3조 2교대의 근무형태를 4조 2교대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도시철도 파업 조짐은 대구뿐 아니라 전국에서 나타나고 있다. 애초 총파업 투표가 전국 6개 도시철도 운영기관 노조 합동으로 진행됐고 서울과 부산, 인천에서도 대구와 마찬가지로 파업 찬성률이 80%를 넘겼다. 이날 서울교통공사 노조는 아예 다음달 14일부터 총파업을 실시하겠다고 예고하기도 했다.

파업 시점은 이르면 다음달 말이 될 전망이다. 파업을 하려면 노조가 대구지방노동위원회(이하 지노위)에 조정신청을 한 뒤 15일 간의 조정기간을 거쳐야 한다.

윤기륜 지하철노조위원장은 "사측과 물밑 협상을 이어가는 동시에 지노위에 조정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단계"라며 "무임손실비 확대는 대구뿐 아니라 코로나19로 적자폭이 커진 전국 도시철도가 모두 갖고 있는 문제이며, 정부 지원이 절실하다. 근무체계도 서울과 부산처럼 4조 2교대로 바꾸는 등 근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고 했다.

대구도시철도가 파업으로 멈춰도 시민 불편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대구도시철도공사는 교통수요가 몰리는 출퇴근 시각에 맞춰 운행인력 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지하철노조가 아닌 나머지 51% 직원이 있는 대구도시철도노조도 파업에 동참하지 않기로 했다. 대구시는 서울과 달리 구조조정 계획이 없어 파업 명분이 크지 않다는 이유다.

대구도시철도공사 관계자는 "다음달 초 지하철 노조에서 조정신청을 할 경우에 대비해 운송대책을 검토하고 있다"며 "교통수요가 많은 출퇴근 시각을 우선으로 운행 차질이 최소화되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