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오는 2023년까지 반도체·바이오 등 전략 사업에 240조원을 신규 투자한다. 4만명도 직접 고용할 방침이다.
삼성전자와 주요 관계사는 24일 투자·고용과 상생 산업 생태계 조성 계획을 발표했다. 향후 3년간 투자 규모금(240조원) 가운데 180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계획은 이재용 부회장이 지난 13일 가석방된 지 11일 만에 나온 대규모 투자 계획으로 지난 2018년 내놓은 180조 투자 계획을 웃도는 단일 기업 사상 최대 규모다.
우선 메모리·시스템 반도체 등 첨단 혁신 사업을 중심으로 대규모 투자를 해 글로벌 산업 구조 개편을 선도할 방침이다. 이번 투자 금액에는 시장 리더십 강화 목적의 대규모 인수합병(M&A)도 포함됐다.
포스트 코로나19에 대비해 바이오 사업을 '제2 반도체'로 육성한다. 삼성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제4공장을 조만간 완공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능력을 세계 1위(62만ℓ)로 키운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바이오시밀러도 5개 제품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으며 현재 10번째 제품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차세대 통신 분야에서도 세계 최초 5G 이동통신을 상용화한 기술력을 토대로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와 AI, 로봇, 슈퍼컴퓨터 등 미래 신기술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고용 계획과 관련해 삼성은 3년간 3만명 고용이라는 기존 계획을 확대해 첨단 산업 위주로 1만명 추가 고용안을 발표했다. 국내 대규모 투자로 56만 명의 고용·일자리 창출 효과가 발생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등 주요 관계사들은 국내 고용시장 안정을 이유로 현행 신입 사원 공채 제도도 유지하기로 했다.
사회공헌·교육 사업도 강화한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청년 소프트웨어(SW) 아카데미, 스타트업 지원 'C랩' 사업을 확대해 청년 취업난 해소와 첨단 신성장 산업을 육성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