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여야 후보 간 각축이 모든 이슈를 삼키고 있지만, 대구경북(TK)은 여기에만 매몰될 형편이 아니다. 대선 못지않게 관심과 힘을 쏟아야 할 데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지역의 하늘길과 먹는 물길 개통이다.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의 원활한 추진을 위한 주요 요소 중 하나인 '군위군 대구 편입'과 대구시의 '취수원 이전' 문제가 발등의 불이다.
경북도의회의 군위군 대구시 편입에 대한 찬반투표가 다음 달 2일로 다가왔다. 이는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해 통합신공항 이전 부지 선정을 앞두고 약속했고, 경북도의원 대다수가 동의한 사안이기도 하다.
하지만 일부 도의원은 '도민 의견수렴 절차 생략' '기초단체 이전에 따른 인구 감소' 등을 내세워 반대하고 있다.
현행 지방자치법에 따르면 시군 관할구역 변경은 주민투표 또는 지방의회 의견 청취 중 하나를 거치도록 규정, 도민 의견수렴 논란은 반대를 위한 트집 잡기로밖에 여겨지지 않는다.
대구 공직사회 일각에서 군위군 편입 이후 대규모 세수 투입으로 대구 원도심 투자가 축소될 것이라는 지적도 극히 근시안적 사고로 비친다.
군위군에 대한 기반 시설 투자는 대구 전체 인구의 증가와 함께 인근 칠곡, 구미, 영천, 의성 등지로의 파급효과로 TK가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큰 그림을 간과하고 있는 셈이다.
구미 해평취수장 대구 공동 이용 문제도 마찬가지다.
대구는 평시에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30만t을 활용하고 나머지는 초고도정수처리시스템을 도입한 매곡·문산정수장에서 물을 공급하는 방식이다. 만약 낙동강 수질오염사고가 발생하면 필요 수량 전부(57만t)를 해평취수장에서 활용한다는 것이다. 구미 지역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 대구는 해평취수장 이용을 멈춰, 구미 시민들의 수량 부족 우려도 덜고 있다.
이렇게 되면 대구는 1991년 낙동강 페놀사고 이후 안전한 취수원 확보라는 30년 만의 숙원을 이루게 된다. 구미는 ▷대구 100억 원 지원과 구미 농축산물 우선 구매 ▷정부 낙동강수계기금 매년 100억 원 지원 ▷KTX구미역사 신설 등 상생발전과 도약의 기틀을 마련하는 셈이다.
구미시와 해평 지역 주민들까지 받아들이는 마당에 구미 일부 정치권이 딴지를 걸어서는 곤란하다.
이 시점에서 두 현안의 마지막 단추를 끼우는 것은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권영진 대구시장의 몫으로 남았다. 경북도의원들을 잘 설득해 TK 하늘길을 활짝 열어젖히는 이 지사의 정치력이 요구된다. 또 장세용 구미시장의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의 조건부 수용 의사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현안을 슬기롭게 해결해 내는 권 시장의 지혜가 시험대에 올랐다.
두 단체장의 정치력과 지혜가 대구경북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느냐 없느냐를 결정짓는다는 점에서 대선 후보에 눈 돌리지 말고 정치생명을 건다는 각오로 임하기를 촉구한다.
수도권 초집중화로 TK가 날로 피폐해진다. 이 같은 추세는 경제는 말할 것도 없고 정치, 문화, 교육 등 사회 전 부문을 망라하고 있다. 대구와 경북의 경제가 나뉘고 행정이 분리된 상황이 쇠락을 더 가속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TK의 경제통합은 지지부진하고 행정통합은 중장기 과제로 밀렸지만, 이는 여전히 지역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다.
TK가 쇠락의 수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상생발전이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군위군 대구 편입과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이 TK 상생발전의 주춧돌이 되길 간절히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