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영혼까지 끌어모은다)과 '빚투'(빚내서 투자)는 문재인 시대를 사는 서민의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의 상징이다. 부동산·금융·사회경제 정책의 대실패를 의미하는 단어이기도 하다.
얼마 전 NH농협은행, 우리은행 등 일부 은행과 지역 농·축협이 대출을 중단해 실수요자들에게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20일부터 26일까지 5개 시중은행에서 만들어진 마이너스대출 증가액은 직전 일주일(13~19일) 3천453억 원에서 2조6천921억 원으로 7.8배나 되었다.
"이사 갈 집도 못 정했는데 언제 대출이 막힐지 몰라 신용대출부터 받았다"는 반응은 '금융 대출을 못 받을 수 있다'는 서민의 불안감을 반영한다. 서민들은 금융권 대출 없이 전셋집이나 내 집 마련은 꿈도 꿀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도 그럴 것이 부동산 정보 플랫폼이 24일 한국부동산원의 통계를 분석한 결과, 7월 서울의 연립·다세대주택 평균 매매가는 불과 한 달 만에 28.1% 올랐고, 전세금도 31.5% 치솟았다. 한국부동산원은 통계의 신뢰도와 체감도를 높이기 위해 7월부터 표본 추출 방식을 변경했기 때문에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기존 정부 통계와 시장의 괴리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설명하고 있다.
급기야 한국은행은 지난 26일 무려 2년 9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75%로 인상했다. 향후 두세 차례 금리 인상이 더 이뤄지고 초저금리 시대는 막을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올해 2분기 가계 빚이 1천800조 원을 돌파하고, 2019년 4분기 이후 7분기 연속 상승하는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로 보인다. 주식시장에도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
청년층 빚투의 상징인 암호화폐 시장도 태풍권에 진입했다. 거래소 63곳 중 24곳이 ISMS(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 심사를 신청하지 않아 폐업이나 영업 중단이 유력하다. ISMS 인증 신청을 한 곳 중에서도 FIU(금융정보분석원)와 KISA(한국인터넷진흥원) 심사 과정에서 탈락할 수 있다. 암호화폐 대재앙의 우려가 현실이 되는 셈이다.
그동안 풍자적 우스개로 나돌던 '文(문)재앙의 세상'이 '진짜' 도래한 느낌이다. 이를 피할 서민·중산층은 없다. 고통을 견뎌낼 수 있느냐는 것이 생존의 관건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