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고] ESG의 파도, 지역 기업도 대비해야

서민교 대구대 경영학부 교수

서민교 대구대 경영학부 교수
서민교 대구대 경영학부 교수

최근 선진국 글로벌 기업에서 시작된 ESG 경영 파도가 국내 기업들에 무섭게 몰아치고 있다. ESG는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것으로, 기업이 경영을 할 때 친환경, 사회적 책임,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고려해야만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ESG 확산에 대한 지역 기업의 대응은 어떠한가. DGB금융그룹 등 몇몇 대기업을 제외하고 거의 움직임이 없는 실정이다. 지역 기업 대부분이 중소기업이다 보니 ESG와 관련이 없다는 인식과, 친환경 설비투자 비용 부담이나 전문 인력 수준으로 볼 때 도입을 부담스러워하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ESG는 지역 중소기업과 관련이 없는 먼 나라 얘기일까.

지역 중소기업들은 대부분 선진국에 수출을 하거나 대기업 협력업체로 거래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선진국의 ESG 제재 및 대기업의 ESG 활동 보고가 관계회사 및 협력사를 포함하기 때문에 조만간 선진국의 바이어나 대기업은 협력사나 관계사인 중소기업이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거래 관계를 철회할 수밖에 없다고 통보하는 날이 닥칠 것이다. 특히, 고탄소 배출 산업에 속한 중소기업은 ESG 파도가 직격탄이 될 전망이다. 결국 ESG는 선진국이 주도해서 움직이는 거대한 전 세계적인 흐름이므로 피할 수가 없다.

또한 ESG의 거친 파도가 반드시 지역 중소기업에 위협 요인만은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지역 중소기업에 지워지는 ESG 도입에 대한 부담은 역설적으로 기회로 작용할 수가 있다.

ESG 준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될수록 ESG를 선제적으로 도입한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의 협력, 투자 유치 및 자본 조달 측면에서 높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일례로 공급망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LG전자나 아모레퍼시픽과 같은 대기업에서는 제품 안전, 노동, 환경 등 측면에서 협력사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해 이를 협력사 선정 여부에 반영하고 있다.

그렇다면, 지역 중소기업이 ESG 경영을 도입하는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일까.

첫째, 중소기업 특성상 의사결정의 전권을 쥐고 있는 오너 또는 최고경영자(CEO)의 ESG에 대한 인식 제고와 더불어 기존 사고의 틀을 깨는 과감한 변화 의지가 요구된다.

둘째, ESG 이슈가 워낙 방대하므로 기업의 규모나 업종, 처한 상황에 따른 선택과 집중의 차별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즉,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의해 ESG 이슈와 연관된 부분을 중점 관리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중소기업이 대기업처럼 전담 조직을 운영하거나 전담 인력을 배치하는 것은 쉽지 않으므로 핵심 사업과 연계된 프로세스에 ESG 이슈를 연계시켜 전사적 차원의 ESG 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지역의 중소기업에는 ESG가 '하루 벌어 먹고사는 사람에게 갑자기 유기농 식탁을 차리라'는 격과 같다는 이야기도 있다. 하지만 이왕 극복해야 할 도전이라면 적극적으로 치고 나가야 할 시점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