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시장 붐을 타고 러시를 이룬 대구 재개발·재건축 사업 단지들이 '골든 타임' 을 놓칠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해당 단지들은 '주택 시장 경기가 시들 것'이란 전망에 사업 추진을 서두르고 있지만, 내부 또는 인근 주민들과 찬·반 갈등에 마땅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이사 송원배)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대구시 전체 정비구역 사업 신청 대상지는 227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대구시의 관리처분 계획 인가(사업 최종 단계)를 받은 사업장은 단 13곳(6%)에 불과했다.
상당수 사업은 안팎의 갈등으로 진도를 나가지 못한 채 무산 위기에 놓였다. 사업지 내 주민 간 갈등으로 진도를 나가지 못한 대표적인 곳은 서구 원대동의 한 재개발 추진 지역이 꼽힌다. 2006년 대구시로부터 재개발사업 구역으로 지정됐으나, 주민들은 재개발 추진위원회와 반대 측 비상대책위로 갈라서 대치 중이다.
이런 가운데 일부 가구가 최근 민간시행사에 주택을 팔아 사업 추진 권리 구도는 더욱 복잡해졌다. 비대위외 시행사 간 이견으로 5만㎡에 달하는 해당 부지 개발의 해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중구와 남구의 10여 개가 넘는 다른 사업지도 내부 갈등으로 진척을 이뤄내지 못하고 있다. 사업 승인을 위해선 해당 지역 주민 67%가 구역지정동의서를 제출해야 하지만 일부 구역 주민은 구역 지정 동의서에 찬성하지 않거나, 제출했더라도 더 좋은 조건을 요구하면서 동의 철회서를 제출하는 등 의견 일치가 되지 않고 있다.
남구 대명동의 한 사업지는 구청의 관리처분 계획 인가까지 받았으나 외부 요인으로 인해 전면 중단된 대표적 사례로 꼽힌다. 사업지 중간을 가로지르는 도로 사용권을 두고 사업지 부근 주민들이 '가스통 시위'까지 벌이며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추진위 측은 사업지 내 공공 통행 도로 개설 등 중재안을 제시했으나 끝내 거절당했다.
일부 사업 추진 관계자들은 "주택 시장 호황이 천년만년 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모든 사업은 적기가 있기 마련인데 골든타임을 놓치고 있다"며 "이대로라면 해당 주민들에게 헛 꿈만 심어 놓은채 애꿎은 비용만 허비해 가며 사업이 아예 무산될 가능성도 있어 애만 태우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