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과학관 비리 직원 솜방망이 징계…외부감사 도입을"

시민단체 "직위해제 후에도 임금 80% 받아…1명은 100%"

대구테크노폴리스에 들어선 국립대구과학관.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대구테크노폴리스에 들어선 국립대구과학관. 김태형 선임기자 thk@imaeil.com

국립대구과학관의 갖가지 비리 의혹이 정부 감사를 통해 사실로 드러난 가운데, 시민단체가 대구과학관의 징계조처가 유명무실하다고 비판했다.

대구참여연대는 2일 성명서를 내고 "징계자에 대한 80% 수준의 임금 지급은 과다하고, 현재 대구과학관에 대한 감사 기능도 유명무실하다"며 "비위 직원에 대한 임금 삭감률을 높이고, 외부감사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대구참여연대는 "법인인 대구과학관이 여타 과학관에 비해 징계가 약하다"고 지적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직접 운영하는 중앙과학관, 과천과학관 등은 공무원 조직으로 직위해제의 경우 50%, 정직의 경우 전액 미지급 하는 반면, 대구, 광주, 부산 등의 법인과학관은 2013년 당시 만들어진 임금 규정을 따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징계 후 임금 지급금액이 높다는 것이다.

대구참여연대는 "대구과학관에 대한 과기부 감사 결과 직위해제된 직원들이 기존 임금의 80%를 지급받은 것이 확인됐다"며 "심지어 그 중 한 명인 노조 지부장은 직위해제를 당했음에도 노조업무를 빌미로 사무실에 나와 구명탄원서를 받고, 근로시간 면제자라는 이유로 직위해제임에도 100% 임금을 지급받고 있다"고 했다.

강금실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다른 공공기관처럼 대구과학관 역시 감사직에 외부전문가를 상근직으로 공개채용하고, 유명무실한 시민감사관형태의 외부감사를 실질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며 "감사시스템 부실로 오래 일한 직원들이 비위에 둔감해진 것이 이번 사태의 원인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구과학관 관계자는 "현재 조직쇄신안을 마련 중"이라며 "감사시스템에 국한된 게 아니라 조직 전반적인 쇄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구체적 안은 아직 없지만 외부에서 제기되는 문제를 고려해 쇄신안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