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수원, LS일렉트릭 등과 연료전지 시범사업 추진

한수원은 지난 3일 LS일렉트릭 등과
한수원은 지난 3일 LS일렉트릭 등과 '울산미포산단 부하대응 연료전지시범사업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맺었다. (왼쪽부터 김세훈 현대자동차 연료전지사업부장, 유수경 두산퓨얼셀 대표이사, 박용상 LS일렉트릭 대표이사, 정재훈 한수원 사장, 윤병석 SK가스 대표이사, 정찬식 태광산업 대표이사). 한수원 제공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은 LS일렉트릭, SK가스, 두산퓨얼셀, 태광산업, 현대자동차 등과 함께 부생수소를 활용한 부하대응 연료전지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한수원은 3일 이들 기업과 비대면으로 '울산미포산단 부하대응 연료전지 시범사업 공동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앞으로 울산미포산단에서 발생하는 부생수소는 연료전지 발전소에서 쓰이게 된다.

부생수소는 석유화학 공정이나 철강 등을 만드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나오는 수소를 말한다.

연료전지 발전소 일부는 연료전지, 태양광 등 다양한 유형의 에너지자원을 ICT기술을 활용해 통합운영하는 'VPP 플랫폼'과 연계해 SMP(계통한계가격), 연료비 등에 따라 발전량을 조절하는 부하대응 방식을 적용해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서 한수원은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구입과 부하대응을 위한 VPP 실증 등을 맡기로 했고, 나머지 회사들은 EPC(설계·조달·시공) 및 LTSA(장기유지보수계약) 수행, 부생수소 공급 등을 책임지기로 했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부생수소를 활용한 부하대응 연료전지 시범사업에서 한수원은 다양한 신재생 사업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하고, 현재 구축 중인 VPP플랫폼을 적용할 예정"이라며 "이번 사업이 국내 부생수소를 활용한 부하대응 연료전지 사업의 참조 모델이 되도록 각 참여사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