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중앙도서관 '국채보상운동 기념 도서관'으로 재탄생

9월 착공, 내년 12월 완공할 계획…공사비 총 199억원

국채보상운동 기념도서관 예상 투시도. 대구시 제공
국채보상운동 기념도서관 예상 투시도. 대구시 제공

대구 중구 도심 공간을 상징하던 중앙도서관이 '국채보상운동 기념도서관'으로 탈바꿈한다.

대구시는 3일 "대구 대표도서관 신규 건립 및 현 중앙도서관의 역할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새로운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도서관으로의 리모델링을 추진한다"며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공사에 들어가 내년 12월 완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5년 7월 시가 남구 대명동 캠프워커 헬기장 반환 부지에 대구 대표도서관을 세우기로 확정한 데 따른 것이다.

중앙도서관은 1919년 경상북도청 뇌경관 내 대구부립도서관으로 문을 열었고, 1985년 현재 위치로 자리를 옮겼다.

국채보상운동 기념도서관은 지하 1층~지상 4층, 연면적 1만181㎡ 규모로 설립되며 공사비는 총 199억원(국비 56억4천만원, 시비 142억6천만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또 애초 중앙도서관에서 활용도가 적었던 유휴 공간을 이용해 ▷국채보상운동 체험관 ▷시민커뮤니티실 ▷수장고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특히 전국 최초로 라키비움(larchiveum:도서관·기록관·박물관의 기능을 모두 제공하는 공간) 형태의 복합문화시설도 들어선다.

구체적으로는 ▷지하 1층 다목적실 및 북 카페 ▷1층 시민커뮤니티실, 라키비움실 ▷2층 체험장과 기획·상설전시장 ▷3~4층은 칸막이가 없는 개방형 도서관, 문화강좌실 등으로 구성해 중앙도서관의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기로 했다.

박희준 대구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대구의 정신이면서 세계의 정신이 된 국채보상운동의 나눔과 책임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 시민들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