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차례상차림 비용이 지난해보다 9%가량 오른 평균 30만원으로 추산됐다. 대부분의 제수용품 가격이 지난해보다 오른 탓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을 3주 앞둔 지난달 30∼31일 서울 88개 시장과 유통업체에서 추석 제수 용품 품목 구매 비용을 조사한 결과 4인 기준 평균 30만369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지난해 추석 1차 조사 때 평균 가격(27만4천768원)과 비교하면 9.3% 올랐다. 조사 대상인 제수 용품 24개 가운데 22개 품목의 가격이 전년보다 뛰었다.
각 제수 용품 가운데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것은 곶감이다. 지난해 1만452원이던 곶감(상주산·10개 기준)은 올해 1만4천590원으로 39.6%나 올랐다.
이어 달걀(일반란 1판)이 5천833원에서 7천988원(36.9%↑)으로 비싸졌다. 추석 3주 전을 기준으로 최근 5년 새 최저가였던 2019년(5천42원)보다 58.4% 높은 가격이다.
달걀 가격을 업태별로 보면 대형마트(평균 6천608원)가 가장 저렴했다. 이어 ▷전통시장(8천177원) ▷일반 슈퍼마켓(8천616원) ▷기업형 슈퍼마켓(8천659원) ▷백화점(1만493원) 등 순으로, 소매 판매점 유형에 따라 최대 3천800원의 격차가 발생했다.
과일류는 곶감 외에도 배 가격이 27.3% 뛰어 평균 가격이 22.6% 올랐다.
가격이 내린 제수 용품으로는 참조기와 청주가 유일했다.
참조기(3마리)는 지난해 8천53원에서 올해 5천137원으로 36.2% 하락했다. 청주도 1만1천618원에서 1만772원으로 7.3% 내렸다.
![[그래픽] 추석 차례상 비용 (서울=연합뉴스) 김토일 기자 =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물가감시센터는 추석 3주 전인 지난달 30∼31일 서울 25개 자치구 88개 시장과 유통업체에서 추석 제수 용품 24개 품목의 구매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30만369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kmtoil@yna.co.kr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끝)](https://www.imaeil.com/photos/2021/09/03/2021090316352007728_l.jpg)
4인 기준 차례상차림 비용을 가장 싸게 구입할 수 있는 곳은 전통시장으로 평균 23만4천804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형마트(30만8천205원)보다 23.8% 저렴한 가격이다.
물가감시센터 관계자는 "소비자 물가가 추석까지 꾸준히 오를 것으로 보여 소비자 부담이 클 전망"이라며 "특히 달걀은 산지 가격의 상승률이 높은 편으로, 산지 가격 결정구조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