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6·25 침략 도운 중공군 미화하는 영화 국내 상영 허가 철회하라

중국이 6·25전쟁 당시 중공군의 승전 전투를 영화로 제작한 '1953 금성대전투'(원제 '금강천')가 '15세 이상 관람가'로 국내 상영이 허용됐다. 1953년 7월 강원도 철원 일대에서 치러진 '금성전투'는 국군 전사자 1천701명, 부상자 7천548명, 국군 포로 또는 실종자 4천136명을 낳은 전투다. 이 전투를 배경으로, 북한을 도운 중국 입장에서 제작한 영화가 한국 정부의 상영 허가를 받은 것이다.

6·25전쟁은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 공산군이 38선을 기습 돌파하며 일으킨 침략 전쟁이다. 이 전쟁으로 남한은 민간인 100만 명, 군인 62만 명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었다. 북한에서는 민간인 150만 명, 군인 93만 명이 사망 또는 부상당했다. 남한의 공업시설 42%, 북한의 공업시설 60%가 사라졌다. 막대한 인명과 재산 피해를 가한 6·25를, 그것도 북한의 침략 전쟁을 도와준 중공군을 영웅으로 묘사하는 영화를 정부가 수입 허가하는 것이 온당한가? 역사적으로 중국이 우리나라에 가한 폭력이 태산처럼 쌓여 있는 마당에 중공군 찬양 영화를 우리나라 안방에 방영하는 까닭이 무엇인가? 문재인 정부가 중국을 흠모하니 국민도 중공군을 영웅으로 인식하라는 뜻인가?

중국은 우리나라를 겨냥해 둥펑(東風) 계열 미사일 600여 기, SRBM(단거리탄도유도탄) 1천200여 기, IRBM(중거리탄도미사일) 수백여 기를 배치하고 있다. '러시아판 사드' S-400으로 한반도 전역을 감시도 한다. 그러면서 북한 핵미사일 방어용으로 우리나라가 배치한 '사드'를 비난하며,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를 배척하고, 관광산업, 유통, 화장품산업 등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다. 그런 중국에 항의는커녕 중국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는 영화를 상영 허가하는 게 말이 되는가?

얼빠진 정치인이 이를 '표현의 자유'라고 말했다. 그런 식이라면 일본군이 독립군 때려잡는 영화도 '표현의 자유'에 해당할 것이다. 표현의 자유에도 넘지 말아야 할 선(線)이 있다. 정부는 영화 상영 허가를 즉각 취소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