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동락 대구가톨릭대병원 재활의학과 교수와 도진국 대구가톨릭대병원 신경과 교수의 '긴장성 두통 환자에서 두개 미세전류 치료 효과-전향적, 무작위, 이중 맹검, 대조군 연구' 논문이 미국 국제전문학술지 IJCP(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actice)의 9월호 표지논문으로 채택됐다.
두통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신경 증상으로, 90% 이상의 사람들이 살아가며 경험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런 만성 두통의 병태생리학적 기전에 관해서는 아직 완전히 설명되지 않았다. 머리와 목 주변의 근육 문제, 삼차 신경핵에 있는 과민화된 통증 전달 회로가 머리 주변 근육의 통증을 뇌로 잘못 전달하는 것, 자율신경 중 교감신경계의 과활성화와 부교감계의 활동 저하 등이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권 교수와 도 교수는 이전 연구에서 귀의 특정 부분에 부교감 신경의 가장 중요한 미주신경 가지가 100% 존재하는데 착안해, 미세전류를 자극하는 경우 부교감 신경이 활성화되고 교감신경과의 균형을 이룰 것이라는 가정하에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긴장성 두통환자 중 두 개 미세전류 자극을 줬던 환자가 대조군에 비해 두통 통증의 강도, 불안감, 우울감이 의미있게 감소했다.
미세전류 치료는 전기자극 강도가 1mA 이하로 자극 느낌이 전혀 없는 인체와 유사한 낮은 전류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한 치료이다. 권 교수와 도 교수는 "안전한 미세전류 치료가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긴장성 두통 환자의 통증 완화에 희망이 될 수 있어 기쁘다"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