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대구 서구 비산동에서 투병 중인 아내를 보살피던 70대 남편 A씨가 아내와 함께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남편은 5~6년 전 직장암 3기 판정을 받아 항암치료 중이었으며, 치매로 걷지도 못하는 아내를 홀로 돌보고 있었다. 남편은 지난 5월 암수술 후유증으로 천공이 온 아내의 대소변까지 받아야 했다. 동네 사람들은 "최근까지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아내를 살뜰히 남편이 챙기며 동네를 산책다녔다"고 했다.
10일은 자살예방의 날. 여전히 자살률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특히 노인자살은 타 연령대에 비해 심각하다.
통계청 '2020년 사망원인통계'에서 대구 연령대별 자살 사망 현황을 살펴본 결과, 2019년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자살률(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은 45.2에 달했다. 65세 다음으로 자살률이 높은 40대 자살률이 34.9임을 고려해볼 때, 노인 10만 명당 자살자 수가 40대에 비해 10명이나 많을 정도로 높은 수치다.
자살 동기는 정신적·정신과적 문제와 경제 문제가 꼽혔다. 2019년 대구에서 극단적 선택을 사람들 중 64.3%가 앞서 2가지 문제가 원인이었다.
주변인들은 몸이 불편한 A씨 부부가 수입을 얻기 위한 근로활동을 한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렇다고 기초생활수급 대상자도 아니었다.
이들이 살았던 공간은 주택 및 상가를 겸하는 건물로, 이는 일반재산으로 잡혀 공제되지 않은 탓에 선정 대상에서 탈락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들이 받은 공공 지원은 기초연금 48만원(부부합산)이 전부였다. 넉넉하지 않다보니 간병인을 쓸 수도 없었고, 혼자 병간호를 도맡아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듯 노인자살은 사회·경제적인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지만, 대구시에서 노인자살을 중점적으로 다루진 않는다. 대구시 산하 자살예방센터가 있지만, 노인 자살의 경우 불안·우울을 예방하거나 자살시도 시 입원을 도와주는 서비스만 제공한다.
물론 국가만이 노인자살을 막을 수 있는 주체가 돼선 안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국가는 서비스와 제도의 주체일 뿐 심리정서적인 면은 민간이 맡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시는 '광역단위 민관협력체계 구축'이라는 명칭으로 유관기관과의 관계망을 갖추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올해 관련 예산은 450만원에 불과하다.
김유진 경북대 사회복지학부(노인복지) 교수는 "노인 복지에 있어서 우리나라는 국가의 역할만을 강조한다. 투입되는 예산 역시 노인들에게 직접 전달하는 것만큼 전달체계 관리에 많이 쓰인다. 노인 관련 문제는 국가만이 아니라 가족, 공동체 다 같이 한다는 사회 전반적인 변화가 절실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