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차기 총리를 결정하는 자민당 총재 선거에 출마를 선언한 주요 후보들이 모두 개헌 의사를 내비쳤다. 위안부 문제 등 과거사 인식에 대해서도 보수적인 입장을 보여 누가 당선되더라도 한·일간 냉기류는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산케이신문은 12일(현지시간) 고노 다로 행정개혁 담당상과 기시다 후미오 전 자민당 정무조사회장, 다카이치 사나에 전 총무상 등 출마를 공언한 세 후보가 모두 헌법 개정 의지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우익 색채가 가장 짙은 것으로 평가받는 다카이치는 "시대의 요청에 부응할 수 있는, 일본인의 손에 의한 새로운 일본국 헌법을 제정하겠다"고 말했다.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지원을 받는 그는 자위대 명기를 위한 개헌을 주장한다. 전날 출연한 인터넷 방송에선 "이웃국들의 전쟁 억제를 위해서라도 중거리 미사일 배치가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기시다는 긴급사태 조항 신설, 자위대 명기 등 자민당이 추진해 온 헌법개정안 4개 항목을 임기 중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도시를 봉쇄할 법적 근거가 없어 방역 허점이 드러났다는 논리를 내세워 자위대 명기 등 개헌 논의에 불을 지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고노는 지난 10일 출마 선언할 당시 개헌에 관해 언급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개헌을 호소하고 있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고노 역시 일본도 록다운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를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일 문제에 대해서도 모두 강경 노선을 취하고 있다. 고노는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했던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 전 중의원 의장의 장남임에도 불구하고, 출마 기자회견에서 "자민당 정권이 계승해 온 역사 인식을 이어가겠다"고 언급하는 등 과거사 문제가 모두 해결됐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을 그대로 수용하고 있다.
특히 2019년 7월 일본의 수출규제 강화 조치로 한·일 갈등이 격화됐을 때 외무상이었던 그는 남관표 당시 주일본대사를 초치해 취재진 앞에서 남 대사의 말을 끊고 "무례하다"고 언성을 높여 외교결례 논란을 불러 일으키기도 했다.
다카이치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의 책임을 부인하는 등 과거사 문제에 대해 극우 성향을 보이는 인물로 A급 전범들이 합사된 아스쿠니 신사를 꾸준히 참배해왔다.

기시다는 2015년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외교장관 합의의 당사자로 한·일 간 위안부 합의 이행 여부를 둘러싼 갈등이 다시 표면화될 가능성이 높다. 그는 지난해 12월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도 "일본은 (합의를) 이행하고 있다. 한국도 이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과 TV도쿄가 지난 9~11일 진행한 유권자 선호도 전화 여론조사에선 차기 총재로 고노를 뽑은 응답자가 27%로 가장 많았다. 기시다는 14%, 다카이치는 7%였다. 선거는 자민당 소속 국회의원과 당원·당우(지지자)를 상대로 29일 실시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