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토부, 포항 영일만 횡단대교 타당성 조사 재착수

2011년 이후 10년 만에…내년 말 나올 결과에 영일만대교 운명 달려
영일만 서측 우회도로 등 대안도 함께 검토 예정

포항~영덕 고속도로 영일만 횡단구간 조감도. 매일신문 DB
포항~영덕 고속도로 영일만 횡단구간 조감도. 매일신문 DB

경북의 숙원사업 가운데 하나인 포항 영일만 횡단대교 추진 여부가 내년 말 최종 결정된다. 정부는 영일만 횡단대교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기 위한 과업지시서를 사전 공개하는 등 관련 절차를 밟기 시작했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최근 포항~영덕 고속국도(남포항~북영일만) 타당성 조사(평가) 용역 사전규격을 공개했고 조만간 수행 업체 공모에 나선다.

동해안 고속도로는 이미 운영 중인 울산~포항, 공사 중인 포항~영덕 구간 사이인 남포항IC~북영일만IC 구간(18.0㎞)이 단절돼 있다.

국토부는 타당성 조사 용역을 통해 이 구간을 영일만 횡단대교로 이을지, 영일만 서측 우회도로로 할지 등 노선 대안을 검토해 선정한다.

이를 위해 주변 노선계획 및 개발계획 등을 반영한 장래 교통수요를 예측하고 대안 노선별 비용 편익 분석을 통해 경제적 타당성을 평가한다. 착수한 뒤 12개월 소요될 타당성 조사 결과가 내년 하반기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 영일만 횡단대교의 운명이 갈린다.

경북도와 포항시는 단절구간 우회도로의 교통량이 일평균 약 5만5천 대로 이미 수용량을 초과해 포화 상태인 만큼 해상교량 설치가 절실하다고 본다. 바다를 낀 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해상교가 없는 곳이 경북인 점을 고려해도 영일만 횡단대교의 필요성이 크다는 견해다.

2008년 광역경제권 선도사업으로 선정됐고 2011년 타당성 조사를 거친 영일만 횡단대교 건설 사업은 이후 총사업비 협의 과정에서 제외돼 설계에 들어가지 못하고 브레이크가 걸렸다.

2017년 사업계획 적정성 재검토까지 거쳤지만 '최적의 대안으로 보기에 무리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1년 이후 10년 만에 다시 착수하게 된 타당성 조사에서 그간의 변화된 여건이 얼마나 반영될 수 있을지 이목이 집중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동해안을 잇는 고속도로의 유일한 단절구간을 어떻게 이을지 정부 차원의 해답이 이제야 나오게 됐다"면서 "영일만 횡단대교로 결론이 날 수 있도록 대정부 건의 작업 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