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항 하수처리장 증설 사업 ‘이해할 수 없는 결정’ 전문가들 비판

포항시의회 주최 전문가 토론회서 ‘원인분석없이 무작정 증설은 낭비’ 비난
처리용량 미흡에 대한 정밀진단 후 증설 논의돼야

포항시의회에서 13일
포항시의회에서 13일 '포항시 하수처리장 증설사업에 관한 전문가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신동우 기자

경찰 고발 사태 등 수년째 갈등을 겪어 온 포항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 증설 사업(매일신문 7일 자 등)에 대해 '이해할 수 없는 행정'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기됐다.

전문가들은 "미생물 농도를 국내에서 가장 적게 유지하는 등 상식을 벗어난 운영을 하고도 증설이라는 악수를 두고 있다"고 포항시를 비판했다.

13일 포항시의회에서는 시의원단연구모임인 '비탈거미'와 포항시민단체연대회의 주최로 '포항시 하수처리장 증설사업에 관한 전문가 토론회'가 열렸다.

박경열 포항시의회 의원이 기본 발제를 맡았으며 비탈거미 소속 복덕규·김만호·박칠용·박희정·김상민 시의원, 민경석 대구물산업클러스터 물인증기술원장, 이병희 경기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이태우 환경공학 박사 등이 토론자로 나섰다.

또한 최우성 태안하수처리장 소장이 참석해 똑같이 생물반응조를 활용 중인 경주 외동 공공하수처리시설 현황에 대해 소개했다.

박경열 시의원은 "포항하수처리장은 1일 28만5천t의 하수를 처리할 수 있고 현재 약 20만t 갸량이 실제 처리되고 있어 전체 용량이 부족하지 않다"면서 "그럼에도 기존 생물반응조(미생물을 활용한 하수처리시설)의 미생물 농도를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낮게 주입해 제대로된 하수 처리를 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기존 생물반응조의 동절기 MLSS 농도(하수처리 시 미생물 투입 농도)가 설계상 2천400~4천140mg/ℓ로 돼있지만, 지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실제 투입된 양은 오히려 최대 1천500mg/ℓ까지 낮췄다는 것이 박 의원의 주장이다.

이에 대해 민경석 대구물산업클러스터 물인증기술원장 역시 "미생물의 활동성이 떨어지는 동절기에 투입양을 늘리는 것은 기본 상식이다. 포항이 왜 이런 방식을 쓰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포항지역은 연안 특성상 하수의 염분이 높아 미생물 움직임을 방해하는 등 다른 요인이 더 있을 수 있다. 상황 파악을 통한 운영 개선이 먼저 이뤄지고 증설은 최후의 선택이 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보탰다.

이병희 경기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생물반응조 하수처리는 산소와 미생물의 적정한 투입이 최대의 관건이다. MLSS 농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는 용량도 계속 늘어난다"며 "포항시에 동절기 미생물 농도를 오히려 낮게 투입한 이유를 물었지만, 제대로된 답변을 못 들었다"고 했다.

한편, 지난 2007년 건립된 포항 하수처리장 생물반응조(남구 상도동)는 미생물을 활용해 하수를 처리하는 민간투자사업(BTO)이다.

하지만 처리된 하수가 번번이 환경기준치에 미달되면서 포항시는 지난 2017년 환경부로부터 국비를 지원받아 처리장 증설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포항시의회에서 운영 상의 각종 의혹을 이유로 3년 간 증설사업 승인을 거부해 왔으나 지난해 12월 겨우 본회의를 통과했다.

그러나 일부 시의원과 포항시민단체 등은 여전히 반발을 거두지 않으며 지난 7일 "특정 업체에 특혜를 주기 위해 운영 수치를 고의로 조작했다"면서 이강덕 포항시장과 하수처리장 위탁운영사 등에 대해 사기·업무상배임·직무유기를 이유로 경찰 고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