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지력과 충전속도를 모두 충족하는 차세대 배터리 개발 요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연구진이 정유처리 부산물인 황을 이용해 전지양극재를 만들어내는데 성공했다.
포스텍(포항공대) 화학과 박문정 교수·통합과정 강한얼 씨 연구팀은 고에너지 밀도, 고속 충전, 기계적 유연성을 갖는 혁신적인 리튬-황((Li-S) 전지를 개발했다.
이 연구는 추가적인 용매나 개시제, 계면활성제, 입체 안정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30분 이내의 빠른 반응시간을 통해 계층적으로 정렬된 형태의 역가황 고분자 입자를 합성한 첫 번째 사례가 됐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인 '나노 에너지' 온라인에 게재됐다.
황은 값이 싸고 풍부하며, 독성이 적다는 점 때문에 주목받고 있는 물질이다. 특히 리튬-황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황은 낮은 전기전도도를 갖기에 활성 물질의 완전한 활용을 방해해 충방전 속도를 늦추는 단점이 있다. 또 전해질에 용해도가 높아 전지의 수명도 떨어뜨린다.
이에 연구팀은 황과 비닐포스폰산(VPA)의 역가황 반응을 이용한 공중합을 통해 30분 만에 황 기반 고분자 입자를 합성해냈다. 이처럼 짧은 반응시간에 균일한 미세 입자를 형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황 라디칼과 VPA의 자가 촉매 반응 덕분이다.
이렇게 탄생한 황 기반 고분자 입자는 계면활성제 없이도 안정화를 이뤘고, 전극 표면에 가해지는 기계적 응력도 완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전해질의 침투가 쉽고 전극의 기계적 무결성도 높일 수 있었다.
박문정 교수는 "역가황 고분자를 저비용-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합성해 유연한 리튬-황 전지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지 등으로 그 활용 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보다 큰 성과가 기대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