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 끝나면 가고 싶은 그곳] 인도 순례

극단 가난 속에 이딜 가든 넘쳐나는 찬란한 궁전의 사치

무굴제국의 샤 자한 황제가 왕비를 추모하여 건립한, 인도 아그라에 위치한 묘소 건축물이다.
무굴제국의 샤 자한 황제가 왕비를 추모하여 건립한, 인도 아그라에 위치한 묘소 건축물이다.

2003년 12월 31일, 나는 인도행 비행기를 탔다. 해외 첫 여행이었다. 지금도 친구들이 놀라워하는데 첫 여행이 인도라니, 말도 안 된다고 했다. 어쨌든 첫 해외여행이었다. 그해 나는 국내 유수 문화재단의 기금을 꽤 많이 받아 첫 시집 『비열한 거리』를 내고 잔뜩 남은 돈으로 '시인들의 성지(聖地)'인 인도를 순례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기어코, 나는 순례의 묘(妙)를 깨치지 못한 채 슬픔만 잔뜩 안고 돌아오고 말았다. 변명 같지만 그 여행 이후 나는 지금까지 변변한 시 한 편을 제대로 못 쓰고 있다.

◆릭샤와 템포(Rickshaw & Tempo)

그 슬픔의 시작은 어쩌면 온 시야가 부옇게 흐릴 정도로 안개 자욱한 뉴델리 인디라간디국제공항에서 시작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안개라고, 누군가는 스모그라고 했지만 인도는 물론 파키스탄, 네팔 그리고 티벳까지 이미 다녀온 동행자는 매연이라고 했다. 삼륜차나 자전거를 개조한 릭샤와 템포(Rickshaw & Tempo)가 그 주범인데 덜 정제된 기름을 쓰는지라 엄청난 매연을 뿜어낸다는 것이다.

그 이튿날부터 우리 일행은 작금의 코로나사태를 예견한 듯 매일 스카프와 손수건으로 코와 입을 싸매고 다녔다. 그 매연과 소음 그리고 저개발국의 불결함과 가난은 내내 우리를 따라다녔다. 그리고 6·25 등 온갖 곤궁함을 다 겪어본 몇 동행자도 위대한 사유와 문화의 나라가 내보인 극에 달한 가난에 혀를 차기 일쑤였다.

나는 생전 처음 대면한 그 가난도 경악스러웠지만 실은 그것보다 그걸 아무렇지 않게 받아들이는 인도인들의 태연함과 무능이 더 끔찍했다. 더군다나 그 극단의 가난 속에 어딜 가든 넘쳐나는 사원과 꽃들 그리고 찬란한 궁전의 사치가 보여주는 양극단성이 역겨워 매일 울고 싶을 정도였다. 인도는 마크 트웨인의 말대로 '모든 사람이 꼭 한 번 보고 싶어 하는 단 하나의 나라'일까. 막스 뮐러나 헤겔의 말처럼 '진짜 역사는 과거와 함께 흘러가 버린' 나라일까.

온 도시가 바자르 즉 시장판이었고, 거리에선 시도 때도 없이 콧물과 눈물이 범벅된 커다란 눈망울의 아기까지 피 흘리는 맨발로 다가와 새까만 손들을 내밀었다. 심지어 내가 하루 묵은 도시에선 영상 10도의 한파(?)로 노숙자들 2천 명이 동사를 하는 악몽 같은 일도 있었다. 당연히 음식은 입에 쉽게 들어가지 않았고 며칠 만에 나는 정신과 영혼까지 털려 얼굴마저 핼쑥해졌다. 미리 말하건대 감비(减肥)가 필요한 이가 있으면 인도 여행을 권해드린다. 또한 집에 사춘기를 심하게 겪는 청소년이 있으면 인생관과 가치관 전환을 위해서 필히 그곳으로 보내봄직하다.

자이푸르 내에 있는 하와마할은 953개의 작은 창문이 벌집 모양의 형태를 이룬다
자이푸르 내에 있는 하와마할은 953개의 작은 창문이 벌집 모양의 형태를 이룬다

◆신(神)들의 나라

힌두교, 이슬람교, 시크교, 불교 등 수많은 신(神)들의 나라에서 락슈미 나라얀 사원(힌두교 비슈누와 그 아내를 기리는 사원), 쿠타브 미나르(이슬람 사원) 그리고 위대한 무굴○제국의 황제 샤자한이 17세기에 세운 레드 포트(붉은 사암 성(城)), 1차세계대전 참전 9만 식민지 인도의 희생병사들을 위해 영국이 세워주었다는 인디아 게이트, 1948년 1월 30일 힌두 극우파의 저격으로 스러져간 위대한 마하트마 간디의 온갖 유적 등을 뉴델리를 돌며 보았다. 비폭력으로 인도의 독립을 이끌었던 간디는 마지막으로 이렇게 외쳤다고 한다. 오, 신이여!

버스로 하리야나주를 거쳐 타르사막이 시작되는 자이푸르까지의 끝없이 먼 길을 가며 수레를 끌고 느릿느릿 지나가는 낙타, 소 떼들 그리고 언제나 무슨 짐인가를 머리에 이고 다니는 여인들을 보았다. 도중에 코끼리를 타고 오른 거대한 엠버성(城)의 내부는 더할 나위 없이 화려했고 정원은 아름다웠다. 명예와 부를 축적한 자이싱 2세가 산꼭대기 엠버성을 버리고 대평원에 건설한 도시왕국 '핑크 시티' 자이푸르는 또 어떠했던가.

시티 팰리스와 하와 마할(바람 궁전)은 마치 연극무대처럼 완벽한 궁궐의 빛나는 사치를 보여주었고, 바깥의 온갖 궁핍을 발리우드영화로 2시간 동안 까맣게 잊게 해준 라지 만디르극장은 더없이 화사했다. 다시 궁궐 밖 담벼락에 기댄 노숙자들과 우리 일행을 발견한 아이들이 떼로 몰려와 1달러를 외치기 전까지는.

아그라의 타지마할을 타고르는 '영원히 마르지 않을 눈물'이라고 했다. 일행이었던 고(故) 문인수 시인은 '인도소풍, 빨래궁전'이라는 제목으로 이렇게 시를 썼다. '야므나강변 작은 촌락 한 움막집에, 그 집 빨랫줄 위로 옛날 옛적 사랑 많이 받은 왕비의 화려한 무덤, 타지마할궁전이 원경으로 보입니다. 궁의 둥근 지붕이 거대한 비눗방울처럼, 분홍 엷은 나비처럼 아련하게 사뿐 얹혀 있고요 빨래가, 원색의 낡고 초라한 옷가지들이 젖어 축 처진 채 널려 있습니다. …' 타지마할은 신들의 나라에 핀 사랑의 결정체였다. 나에게 숙부 같았던 문인수 시인의 부부사랑도 그에 못지않은 일화가 많다.

힌두교도들은 갠지스강을 '성스러운 강'으로 숭앙하고 있다.
힌두교도들은 갠지스강을 '성스러운 강'으로 숭앙하고 있다.

◆갠지스, 인도의 눈물

역시 예상을 벗어나지 않고 열차는 그곳의 관행대로 연착이었다. 아그라에서 결행되어 급하게 택시를 타고 인근 툰두라역으로 가서 탄 바라나시행 열차는 구름떼처럼 몰린 승객들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농담 같지만 정확하게 하루가 연착된 탓이었다. 찬바람과 화장실 냄새가 그대로 들어오는 열차 연결부분 자리에 앉아 우리는 꼬박 12시간을 바라나시를 향해 갔다. 그 불결한 열차에서 불가촉천민 소년이 단지 자신에게 부딪쳤다는 이유로 매몰차게 뺨을 때리는 인도남자를 보며 분노에 떨기도 했고, 바라나시 중심가에선 수레를 모는 노인을 채찍으로 때리는 교통순경을 향해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중생(衆生)이라는 말이 각인되는 순간이었다.

1970년대는 미국의 히피들이, 1980년대는 일본인들이 1990년대부터 한국인들이 그곳을 점령하다시피 했다는 갠지스가 있는 바라나시는 한글이 씌어진 상점이 곳곳에 산재해 있었다. 갠지스에서 나는 떠나온 곳으로 엽서를 썼다. '갠지스에서, 불가촉천민들이 둘러메고 온 시신을 태우는 버닝가트에서 시집 한 권 불태웠습니다.

히말라야에서 왔다는 나무 잔가지와 함께 불붙어 검게 사라지는 책 한 권의 의미가 제게는 참 컸습니다. 갠지스는 그 날 유달리 햇살 따가웠고 백발 노파들은 허리를 구부려 삼천 년 전부터인 것처럼 오래 몸을 씻고 있었습니다. 참, 그 날 아침에 깎은 내 손톱도 휴지에 싸서 같이 불태웠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갠지스가 그것들을 온전히 받아들여 주었는지 갑자기 두려워집니다. 갠지스의 열여샛날 달은 참으로 이뻤어요.'

석가가 처음으로 설법한 성지인 사르나트
석가가 처음으로 설법한 성지인 사르나트

갠지스에서 13㎞ 떨어진 곳에 부처가 첫 설법을 한 사르나트(녹야원)의 다메크 스투파를 돌며 나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생각하며 잠시 울었다. 인도에서 돌아온 뒤 십여 년 동안 커리와 짜바티는 손도 대지 않을 정도로 나는 그곳을 떠올리기조차 싫어했다. 가끔 TV 등을 통해 그 곳의 풍광을 볼 때도 아무런 감흥이 생기지 않았다.

아니, 그렇게 생각했다. 안타까운 그곳의 소식이 들려와도 애써 외면했다.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그곳의 유현한 깊이가 느껴지기 시작했다. 그동안 다닌 많은 도시들은 기억에서 희미한 곳도 많고 헷갈리는 곳도 많은데 인도는 갈수록 또렷해진다, 이것이 인도라는 나라의 매력인가. 그 깊이와 의미를 코로나가 끝나면 그곳으로 가 다시 한 번 찬찬히 짚어보고 싶다.

박미영 시인
박미영 시인

박미영(시인)

  • 배너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
  • 배너
  • 배너
  • 배너
  • 배너
  •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