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헝다그룹 운명의날.. '일부 채권 이자 지급'

헝다그룹 야경. 사진 연합뉴스
헝다그룹 야경. 사진 연합뉴스

350조 원대의 부채로 파산이 예견됐던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그룹이 23일 일부 채권에 대한 이자를 지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지난 22일(현지시간) 헝다는 긴급성명을 통해 "2025년 9월 만기 채권(이자율 연 5.8%)에 대한 이자를 23일에 예정대로 지급하겠다"고 밝혔다. 이자 금액은 2억 3천2백만 위안, 한화로는 약 425억 원 수준이다.

이어 헝다그룹은 "23일 역외 달러 채권 이자 8천353만 달러(한화 약 989억 원)도 함께 결제하겠다"고 전했다.

헝다그룹의 성명 발표에도 불구하고 금융계에서는 헝다가 감당하지 못할 이자로 파산절차에 들어갈 것이라고 분석했다.

22일 미국 방송 CNN은 "헝다가 23일 채무 이자를 모두 결제해도 파산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파산 기일을 늦출 수는 있어도 결국 파산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헝다가 올 연말까지 지급해야 하는 이자만 7천 9백억 원 가량에다 내년부터는 원금도 상황해야 하기 때문이다.

23일 블룸버그통신도 "홍콩의 유명 투자업체인 '차이니스 에스테이트 홀딩스'가 가지고 있던 헝다의 주식 일부를 팔았으며 나머지도 곧 처분할 계획"이라는 소식을 전하며 "이 회사가 헝다의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큰 손실을 얻을 전망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헝다의 주식을 모두 매각하는 것은 헝다가 회생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차이니스 에스테이트 홀딩스는 중국의 부동산과 증권 등에 주로 투자하는 투자전문업체로, 이 회사의 최고경영자인 찬 호이완은 헝다의 주요 우군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반면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헝다가 23일 이자를 갚기 위해 약 8만 명에게 소매 금융상품을 판매해 62억 달러(한화 7조 3천4백8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보도했다. 소매금융상품 판매를 통해 확보한 자금 일부를 이자를 갚는데 사용할 가능성을 제기한 것.

한편, 일각에서는 헝다의 상황이 리먼사태와는 차이가 있다며 큰 파장의 일으키지 않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 원인으로 중국의 부동산 시장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크게 개방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부동산대출과 관련된 파생상품이 거의 없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리먼사태는 2008년 주택 담보 투자로 수익을 내던 미국 투자은행(IB) 리먼 브라더스가 파산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 큰 타격을 안겼던 사건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