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군위 소보·의성 비안' 공동후보지 건설의 조건으로 지난해 7월 제시된 군위군의 대구시 편입을 위한 '경상북도 관할구역 변경' 건의서를 23일 행정안전부에 제출했다. 앞서 대구시도 지난 8월 13일 행안부에 군위군의 대구 편입 건의서를 냈다. 행안부가 이들 건의서를 바탕으로 군위군의 대구 편입 절차와 국회 입법 과정을 마치면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한 새로운 국면이 시작된다. 그런 만큼 정부의 처리 과정에 대한 대구경북 사람들의 관심은 크지 않을 수 없다.
이 같은 관심은 지난 2016년 7월 정부의 대구공항·K2 통합 이전 계획 발표 이후, 지난해 8월 이전부지선정위원회의 군위 소보·의성 비안 공동후보지 최종 확정 때까지 대구경북이 겪은 갈등과 고통이 컸기 때문이다. 특히 공항 유치 후보지를 둘러싼 군위·의성의 합의 불발로 통합신공항 무산 위기까기 갔으나 군위군이 지난해 7월 대구 편입 조건으로 공동후보지를 최종 수용해 만 4년 만에 겨우 이전 후보지가 결정됐다. 올 들어는 경북도의회가 대구시의회의 찬성 결정과 달리, 지난 2일 군위의 대구 편입에 대해 찬성도, 반대도 아닌 의견을 경북도에 보내 다시 갈등이 빚어졌다.
그러나 대구시·대구시의회, 경북도와 대구경북 정치권의 적극 지지와 뒷받침을 바탕으로 군위의 대구 편입 건의서가 정부에 제출된 만큼 이제 공은 정부로 넘어갔다. 정부는 만 4년 인고의 세월을 보내며 이끌어낸 이번 결과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신속한 행정 절차를 밟아야 한다. 관련 법률안 마련과 국무회의 처리, 올해 12월까지의 국회 본회 통과까지 차질이 없도록 서둘러야 한다는 뜻이다. 특히 행안부는 군위의 대구 편입 찬성 여론조사 결과 등 이미 표출된 지역 민심을 충분히 받들어 좌고우면하지 않아야 한다.
대구시·경북도는 물론, 대구경북 정치권도 이번 건의서의 원만한 처리와 2028년 통합신공항 개항의 염원이 이뤄지도록 마지막까지 정부와 국회에 대한 설득 작업을 소홀히 해선 안 된다. 정부와 국회의 마지막 관문을 넘어야만 경북도의 '개도 이래 최대 규모 국책 사업'이라는 통합신공항 건설은 보다 현실이 된다. 건설에만 10조 원이 넘는 재원이 드는 국책사업의 성공과 미래 비상(飛上)을 위해서라도 대구경북은 끝까지 역량을 모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