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코로나19 확산세가 갈수록 가팔라지자 26일 '부스터샷'(추가 접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르면 10월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에 대한 검토를 준비하는 상황에서 코로나19를 진정시키지 않고선 '위드 코로나'로 가는 길이 험난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를 주재하고 "백신 접종 대상을 청소년과 임신부까지 확대하고, 60세 이상 고령층과 의료기관 종사자 등 고위험군부터 '추가접종', 이른바 '부스터샷'을 곧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10월 초부터 1·2차 접종 간격을 단축해, 예방접종 완료율을 더 높여 나갈 것"이라며 "정부를 믿고 국민들께서 한분이라도 더 접종에 참여해 주신다면, 바이러스의 위협에서 좀 더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4분기 접종 계획은 이날 중대본 논의를 거쳐 27일 질병관리청이 발표할 예정이다.
김 총리는 "이번 주 방역상황이 단계적 일상회복의 출발점을 결정짓게 될 것"이라며 "이번 한 주 동안은 만남과 모임을 최대한 자제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김 총리는 오는 10월 말부터 단계적 일상 회복을 하겠다는 정부의 스케줄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방송된 지역민영방송협회 특별대담에서 "1년 8개월째 협조를 해주는 국민들께 언제까지나 참아달라고 요청하기가 너무 힘든 상황"이라며 "10월 말이 되면 전 국민 70%가 접종을 완료한다. 그러면 다음 단계로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백신 접종이 70%를 넘으면 그만큼 코로나의 활동 공간을 좁혀놓는 것으로, 확진자가 생기더라도 위험성과 사망을 줄일 수 있어 '위드 코로나'로 통칭하는 단계적 일상 회복에 나설 수 있다는 의미다.
다만, 단계적 일상 회복 국면에 들어가더라도 마스크를 계속 쓰는 등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연말께 미국 등에서 '먹는 치료제'가 나오면 상대적으로 역병과의 싸움에서 인류가 유리한 위치가 되고 우리가 생각하는 일상으로도 되돌아가지 않겠나"라고 덧붙였다.
한편 김 총리는 수도권 공공기관의 혁신도시 추가 이전에 대해선 "올해 가을에 어느 정도 큰 가닥을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수도권에 남은 기관들을 추려보니 400곳 정도 되는데 그중 직원 100명 이상인 곳은 150곳"이라고 언급한 뒤 "이 기관들을 적절히 재배치하면 지역 혁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여러 검토를 하고 있다. 가을 중에 문재인 대통령과 시·도지사들이 모여 중앙지방협력회의를 열고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