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文대통령 "단계적 일상 회복 위해 방역 대응 총력"

김부겸 총리와 주례회동 …"개 식용 금지, 신중 검토할 때" 언급
30일 유기 동물 관리 방안 확정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커지는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은 27일 청와대에서 김부겸 국무총리와 주례회동을 갖고 방역 대응 총력 태세를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김 총리로부터 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한 보고를 받은 뒤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달성을 위해서는 추석 연휴 이후 확진자 증가 상황의 안정화가 관건이므로, 총리를 중심으로 정부가 방역 대응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지시했다.

문 대통령은 또 "확진자 급증에 따른 의료 대응에 지장이 없도록 생활치료센터와 병상 확보 문제를 관계 부처와 지자체가 각별하게 챙겨 달라"고도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추석 연휴 이후 많은 국민이 자발적 코로나19 검사를 통해 방역상황 조기 안정화에 동참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감사의 마음을 김 총리에게 전했다.

문 대통령과 김 총리는 단계적 일상 회복의 조기 전환을 위해 2차 백신접종의 속도를 높이는 것과 함께, 아직도 550만 명에 달하는 백신 미예약 국민의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도 총력을 다해 나가기로 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이날 김 총리에게 "개 식용 금지를 신중히 검토할 때가 되지 않았나"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김 총리로부터 유기 반려동물 관리체계 개선과 관련한 보고를 받고 이같이 말한 데 이어 관련 부처의 검토를 주문했다고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과 총리실이 전했다.

김 총리는 반려동물 등록률 제고, 실외 사육견 중성화 사업 추진, 위탁 동물보호센터 전수점검 및 관리·감독 강화, 민간 보호시설 신고제 도입, 동물보호관리시스템 내실화 등을 추진하겠다고 보고했다.

정부는 오는 30일 김 총리 주재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 유기 반려동물 관리체계 개선 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정부의 개선안에 문 대통령이 언급한 '개 식용 금지'가 포함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토리, 마루, 곰이 등 반려견들과 함께 생활하는 애견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물보호단체 카라는 지난 2018년 7월 "마루의 친구들을 지켜달라"며 개 식용 금지를 촉구하는 탄원서를 청와대에 전달한 바 있다.

또 같은 해 7월 문 대통령의 딸 다혜 씨가 반려견 중 토리를 서울광장에서 열린 개 식용 반대 집회에 데려가 눈길을 끌기도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