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이자 2차 접종 완료하면 델타 변이 88% 예방…AZ 백신은 67%"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게재 논문…캐나다 논문엔 1차 접종 시 AZ 67%-모더나 72% 효과
어떤 백신이든 1차만 접종해도 입원·사망 예방효과 커져

호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비상인 가운데 13일(현지시간) 빅토리아주 주도 멜버른의 한 병원에서 해리 구디슨이란 이름의 12세 소년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연합뉴스
호주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델타 변이 확산으로 비상인 가운데 13일(현지시간) 빅토리아주 주도 멜버른의 한 병원에서 해리 구디슨이란 이름의 12세 소년이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2차까지 접종 완료하면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 바이러스 예방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8월 의학저널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NEJM)에 발표된 논문에서 "화이자 백신을 두 차례 접종했을 때 델타 변이를 예방하는 효과는 88%로 평가됐다"는 결과가 나왔다.

화이자 백신을 한 차례만 접종했을 때는 예방률이 36.5% 수준에 그쳤다.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도 1차 접종 때는 예방 효과가 30% 정도에서 2차 접종 후 67%까지 올랐다.

백신 접종 후 감염되더라도 중증으로 악화하거나 사망할 위험이 급감했다.

입원 및 사망 예방효과도 분석됐다.

화이자 백신을 1차 접종하면 94%, 2차 접종했을 경우 96%로 나타났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도 1차 접종 시 71%, 2차 접종 시 92%로 집계됐다.

캐나다에서 발표된 논문에서도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방대본은 "캐나다에서 아카이브에 게재 중인 논문을 보면 화이자 백신은 1차 접종 결과 델타 변이 예방 효과가 56%, 2차 접종 후 87%로 각각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해당 논문에 따르면 다른 백신을 1차만 접종했을 때도 델타 변이에 대해 60∼70% 예방 효과가 있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차 접종 시 예방 효과가 67%, 모더나 백신은 72%로 각각 보고됐다.

이 연구에서도 어떤 백신이든 1차례 이상 접종했을 때 입원 및 사망 예방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는 인도에서 처음 확인된 것으로,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하다. 전파 속도가 빨라 세계 주요 국가는 물론 국내에서도 유행을 주도하는 '우세종'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1주간(9.12∼18) 국내에서 델타 변이에 감염된 신규 확진자는 3천135명이다. 이는 주요 변이 4종 감염자의 99.9% 수준이다. 국내 감염 사례만 놓고 보면 델타 변이의 검출률은 98.2%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