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릉서 9년만에 '용오름' 포착…"진짜 용이 올라가는 것 같네" 감탄

2일 오전 경북 울릉군 사동항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2일 오전 경북 울릉군 사동항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2일 오전 8시께 경북 울릉군 사동항 인근 해상에서 희귀한 '용오름' 현상이 목격됐다. 국내에서 용오름 현상이 가장 빈번히 관측되는 울릉군에서도 지난 2012년 이후 9년 만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오전 7시 55분~ 8시 15분까지 발생한 용오름은 약 20분간 지속한 뒤 해상으로 흩어졌다. 용오름은 땅이나 바다 표면과 하늘에서 부는 바람의 방향이 서로 다를 때 발생하는 기둥 모양의 상승기류이다.

특히 바다 표면에서 발생 시 공중으로 치솟는 회오리바람이 마치 용이 하늘로 승천하는 모습과 비슷하다고 해 붙여진 이름이다.

2일 오전 경북 울릉군 사동항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2일 오전 경북 울릉군 사동항 인근 해상에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용오름은 내부 풍속이 초속 100m, 빨려 올라가는 속도도 초속 40~90m에 이른다. 이동 속도는 40~70㎞로 바다에서 발생하면 용오름, 육지에서 발생하면 토네이도라고 부른다. 용오름은 보통 따뜻한 해상에서 형성되며 수증기를 머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1985년 10월 울릉도에서 용오름이 처음 보고된 이후 제주와 인천, 강릉 등 이번까지 모두 23차례 관측됐다.

한편, 이날 용오름 현상을 관찰한 울릉군 주민, 관광객들은 '경이롭다'는 반응을 보였다. 한 누리꾼은 "새벽 낚시를 하다가 코앞에서 용오름을 봤다"며 "바닷속에서 뛰놀던 용이 진짜 하늘로 올라가는 것 같았다"고 놀라워했다.

울릉 주민이라고 밝힌 또 다른 누리꾼은 "비도 눈도 많이 내리는 울릉도에서는 정식 관측이 아니더라도 용오름을 비슷한 현상을 볼 일이 꽤 많다"며 "오늘 용오름은 규모가 아주 컸다"고 밝히기도 했다.

2003년 경북 울릉군 인근 해상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2003년 경북 울릉군 인근 해상서 발생한 용오름 현상. 기상청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