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적자 나도 고액 연봉에 성과급 잔치까지 벌인 공기업들

구자근 국민의힘 의원실이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에 등록된 공기업 재무 정보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공기업 36곳의 직원 평균 연봉이 8천155만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200만 원 이상 올라 처음으로 8천만 원대에 진입했다.

코로나19에 따른 경기 악화로 자영업자와 영세 중소기업 등 민간 부문은 어려움이 가중되는 와중에 실적이 악화한 공기업 연봉이 상승한 것은 문제가 많다. 이러니 공기업을 두고 '신의 직장'이란 비판이 나오는 것이다. 직원 평균 연봉이 한국수력원자력은 9천500만 원, 한국부동산원은 9천400만 원이나 된다. 공기업 기관장 평균 연봉 역시 폭증해 2016년 1억1천875만 원에서 2019년 2억1천90만 원으로 2억 원을 넘기더니 지난해엔 2억1천512만 원까지 치솟았다.

공기업이 좋은 경영 실적을 거둬 기관장과 직원 연봉이 올라가는 것은 나무랄 일이 아니다. 그러나 공기업 영업 실적이 추락하는데도 불구하고 기관장 및 직원 연봉이 상승한 것은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36개 공기업 당기순이익은 2016년 9조 원, 2017년 4조2천억 원, 2018년 2조 원, 2019년 1조2천억 원으로 격감했다. 급기야 지난해에는 6천억 원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부채는 2016년 363조 원에서 지난해 397조9천억 원으로 늘어났다.

실적이 나빠지면 임금을 깎거나 동결하는 게 기업 경영의 기본인데도 공기업에서는 그와 배치되는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적자를 내면서도 연봉은 고공 행진하고 지난 한 해 2천100억 원에 이르는 성과급 잔치를 벌였다. 공기업 방만 경영이 도를 넘었다. 이런데도 문재인 정부는 공기업 인원 확대 정책으로 직원 숫자를 대폭 늘려 공기업 부실을 키웠다. 4년 동안 공기업 정원이 2만3천여 명, 인건비 지출이 2조557억 원이나 늘었다. 공기업 부실은 결국 국민 부담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적자를 메우려면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을 인상하거나 세금으로 충당해야 한다. 국민에게 짐을 지우는 문 정부 잘못이 끝이 없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