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상공인·자영업자 60% "코로나로 폐업 고려"

정일영 의원, 9월말 전국 소상공인·자영업자 대상 자체 설문조사

전국자영업자비대위가 지난 9일 오전 여의도공원 인근에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생활고를 호소하며 방역지침 전환을 요구하는 차량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국자영업자비대위가 지난 9일 오전 여의도공원 인근에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로 생활고를 호소하며 방역지침 전환을 요구하는 차량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일영 의원실 제공.
정일영 의원실 제공.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에 따라 거리두기가 연장된 가운데 소상공인·자영업자의 절반 이상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5일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실시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59.9%가 '폐업을 고려한 적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폐업을 고려하는 원인으로는 매출액 감소(36.4%)가 가장 높았다.

이어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 지출 부담(18%), 대출 상환 부담 및 자금사정 악화(11.1%) 등 순이었다.

특히 코로나19 상황에서 소상공인·자영업계 운영에 대해선 80.2%의 응답자가 '소상공인 및 자영업계가 위기에 놓여있다'고 응답했다.

위기 원인에 대해 가장 많은 소상공인들이 '코로나19 장기화'(38.7%)를 꼽았고, '거리두기 정책의 연장'(24.0%),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인건비 부담'(16.6%), '임대료 부담'(6%) 등 순으로 집계됐다.

매출 변화와 관련해선 90.8%의 응답자가 '매출이 줄었다'(매우 줄었다 52.5%, 줄었다 38.2%)고 답했고, '변화 없음'은 6.5%, '매출이 증가했다'는 응답은 2.8%에 불과했다.

이러한 매출 감소로 인한 문제는 대출 부담으로 직결됐다.

대출을 이용 중인 소상공인 72.8%(1금융권 54.8%, 2금융권 19.4%, 대부업 1.4%)에 달하는 가운데 대출 이자가 부담스럽다는 답은 67.7%(매우 부담스럽다 41.5%, 부담스럽다 26.3%)로 집계됐다.

이들이 바라는 가장 시급한 국정과제로는 '거리두기 지침에 따른 영업손실 보상 확대(42.4%)'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임대료 직접 지원'(20.7%), '대출상환 유예 만기 연장'(13.8%), '백신 접종 확대'(6.5%) 순이었다.

정일영 의원은 "60%의 소상공인‧자영업자가 폐업을 고려하는 상황에서 두터운 손실보상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경제의 중추역할을 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과반이 폐업을 할 것이란 우려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소상공인‧자영업자가 현재 큰 위기 상황에 놓여있다"면서 "이번 국정감사에서 정부의 정책이 얼마나 국민 생각과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민심을 정책과 국회 입법과정에 반영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