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오징어게임 뜨면 뜰수록 국내 통신사 손실폭 오히려 커져

오징어게임에 폭증한 트래픽 고스란히 통신사 부담
업계 "넷플릭스 망이용료 지불해야"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 넷플릭스 제공

세계적 흥행에 성공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게임'이 국내 통신사들에게 부메랑으로 날아오는 모양새다. 현재 넷플릭스가 국내 인터넷제공사업자(ISP·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내지 않아 오징어게임 덕분에 폭증한 트래픽 비용을 통신사들이 고스란히 떠안게 된 탓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매년 넷플릭스가 국내 통신사에 발생시키는 트래픽은 급증하는 추세다. 실제로 SK브로드밴드의 경우 넷플릭스로 인한 트래픽이 2018년 5월 50Gbps에서 올해 9월 기준 1천200Gbps로, 24배 늘었다.

최근 오징어게임이 흥행에 성공하면서 국내 통신사들은 오히려 우려하고 있다. 오징어게임으로 넷플릭스가 발생시키는 트래픽이 폭증하면서 트래픽 처리 비용도 상승하고 있어서다. 넷플릭스의 콘텐츠가 인기를 끌수록 국내 통신사의 손실폭은 오히려 커지는 구조다.

반면 넷플릭스는 오징어게임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다. 정체됐던 주가와 구독자 수가 동반 상승했다. 넷플릭스 시가 총액은 오징어게임이 공개됐던 지난달 초 2천600억달러(약 320조원)에서 2주 만에 11조원이 늘었다.

SK브로드밴드 등 국내 통신사는 넷플릭스에 망 이용대가 지급을 요구하고 있지만, 넷플릭스는 이를 외면하는 실정이다. 업계는 넷플릭스가 국내 ISP에 지급해야 할 망 사용료가 1천억원 수준일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국내에는 망 사용료를 내지 않지만, 정작 해외에서는 지불한 사례가 있다. 넷플릭스가 미국 통신사 컴캐스트에 지급하는 '착신망 이용대가'는 사실상 국내 통신사가 요구하는 망 사용료와 동일한 개념이라는 게 업계 시각이다. 넷플릭스는 이 외에 미국 버라이즌과 AT&T에도 망 사용료를 내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통신업계 관계자는 "넷플릭스가 지금처럼 인터넷 망을 이용해 수익만 가져가고 비용은 치르지 않는 행위를 계속한다면 궁극적으로 트래픽 증가에 따른 비용 부담을 모든 ISP들과 일반 이용자들에게까지 전가시키는 꼴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CP(콘텐츠제공사업자)가 정당한 대가를 내도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