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암환자가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는 5년 전보다 암 환자가 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 더불어민주당(경기 부천 정)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5년 전인 2016년 143만6천734명이었던 암 환자는 지난해 170만6천586명으로 크게 늘었다.
암 치료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막대하다. 최근 5년간(2016~2020) 암으로 진료받은 전체 환자 수는 794만7천206명으로 진료비는 총 37조2천895억원에 이른다.
암 유형별로는 기타 암을 제외하고 최근 5년간 갑상샘암이 176만 명(20.1%)으로 가장 많았으며, 유방암이 91만 명(10.4%), 위암 78만 명(9%), 대장암 70만 명(8%), 폐암 45만 명(5.2%) 순서로 많이 발생했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201만 명(25.3%)으로 환자 수가 가장 많았고, 50대 191만 명(24%), 70대 151만 명(19%), 40대 117만 명(14.7%), 80대 59만 명(7.4%), 30대 49만 명(6.2%), 20대 15만 명(1.9%)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20대와 60대 이상에서 2016년 대비 2020년 환자 수가 2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젠 암이 고령자를 중심으로 발병하는 것만이 아니라 젊은층도 조심해야 할 질병이라는 의미다.
한편, 지난해 사망자 수가 처음으로 30만 명을 돌파한 가운데 암으로 인한 사망이 8만 명(27%)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암으로 인한 사망자의 연령대별 통계를 살펴보면 2020년 기준 2016년 대비 60대와 8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오히려 사망자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 의원은 "20대의 경우 최근 5년간 암 환자가 증가했음에도, 사망자 수는 오히려 감소한 것은 암이 더 이상 불치병이 아님을 보여준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 암 환자 수는 매년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데, 암이라는 질병을 치료하는 것 외에 암 환자, 생존자에 대한 정신적·심리적인 지원은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서 의원은 "암 생존자가 사회로 복귀했을 때, 이들이 편견과 차별로부터 보호받고, 치료와 일을 병행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말기 암 환자의 경우 호스피스·완화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