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창녕 우포따오기 가을방사 첫 시도 40마리 방사

우포따오기야 창공을 향해 훨훨 날아라 !
사랑과 행운의 새 희망으로 우포에 스미다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제4회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를 진행했다. 손흥태 기자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제4회 따오기 야생방사 행사를 진행했다. 손흥태 기자

문화재청과 경상남도, 창녕군은 14일 오후 2시 창녕군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제4회 우포따오기 야생방사 행사를 했다.

이날 행사는 소원지 적기, 시 낭독, 인사말, 따오기쉼터 먹이주기, 따오기 방사 등 순으로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관계자 30명만 참석한 가운데 앞선 3차례의 야생방사와 동일하게 40마리(암컷 24마리와 수컷 16마리)를 방사했다.

기존 방사는 모두 봄철(5월)에 이루어졌으나 이번에는 기존 방사와 달리 따오기 방사 적기를 찾기 위해 가을에 처음으로 방사됐다.

과거 1883년부터 우리나라의 따오기 관찰기록을 살펴보면, 한반도 남쪽에서 주로 월동을 위해 겨울철새로 도래한 기록이 많았고 현재까지 야생방사한 따오기의 모니터링 결과를 보더라도 여름철 폐사율이 가장 높았다.

또 일본의 경우 봄‧가을 연 2회 야생방사를 실시해 순조롭게 야생에서 따오기복원을 이어가고 있는 점 등으로 가을방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된 결과 이번 가을방사 실시를 결정하게 됐다.

현재 야생에 생존해 있는 따오기는 수컷의 비율이 높아 번식쌍을 이루지 못하는 수컷 개체가 다수 발생해 이번 가을 방사를 통해 암수 성비를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했다.

자연방사된 따오기가 사육장 밖으로 날아 나오고 있다. 손흥태 기자
자연방사된 따오기가 사육장 밖으로 날아 나오고 있다. 손흥태 기자

기존 야생방사에서는 방사하는 따오기 모두에게 위치추적기(GPS)를 부착해 연구자료를 수집해 왔지만 이번 방사에서는 20마리에게만 위치추적기를 부착한다.

창녕군은 위치추적기를 부착하지 않은 따오기의 모니터링 공백을 해소하기 위해 (재)경상남도람사르환경재단과 함께 따오기 모니터링 앱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쉽게 따오기 제보를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명예 모니터링 자원봉사제를 통해 따오기 보호 및 모니터링에 동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방사된 따오기가 창공을 향해 힘차게 비상하고 있다. 손흥태 기자
방사된 따오기가 창공을 향해 힘차게 비상하고 있다. 손흥태 기자

군 관계자는 "따오기 발견 시 제보를 하는 것만으로도 따오기 생태환경 연구에 큰 도움이 되므로 따오기를 발견하면 날아가지 않도록 거리를 유지해서 관찰하고 우포따오기복원센터로 연락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정우 군수는 "방사한 따오기 중 2쌍이 올해 번식을 시도해 그 중 1쌍이 새끼 2마리를 최종 번식하는 데 성공했다"며 "가을 야생방사가 따오기 야생복원의 큰 이정표가 돼 사랑과 행운의 새 따오기의 힘찬 날갯짓으로 코로나19에 지친 국민들에게 위로가 되면 좋겠다"고 했다.

우포따오기 먹이쉼터에서 참석자들이 미꾸라지를 방사하고 있다. 손흥태 기자
우포따오기 먹이쉼터에서 참석자들이 미꾸라지를 방사하고 있다. 손흥태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