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예고한 가운데 정부와 노동계 사이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해 총파업을 철회해달라 요구하고 있지만, 민주노총은 근거도 없는 감염병 확산 우려를 이유로 또다시 기본권 행사를 제약하지 말라며 총파업 강행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에서 "민주노총의 총파업은 일상회복을 간절히 바라는 국민들의 기대를 저버리는 위험한 행위가 될 수 있다"며 "자칫 대규모 감염확산으로 방역상황이 악화한다면 우리 공동체의 일상회복 여정은 지체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민주노총이) 우리 공동체의 안전을 위해 지금이라도 '총파업 철회'라는 대승적 결단을 내려달라"며 "일상회복을 염원하는 국민들에게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모습으로 응답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위법 시 엄정 대처하겠다는 경고도 내놓고 있다. 구윤철 국무조정실장은 전날 관계부처 차관회의 자리에서 "불법집회 강행 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하겠다"고 이야기했다. 최관호 서울경찰청장도 "불법행위가 발생하면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히 대처하고 엄정 사법처리하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정부·경찰의 엄정 대처 기조에 강하게 반발했다. 민주노총은 "위드 코로나를 논의하는 시기에도 여전히 헌법이 부여한 기본권 제약을 가하겠다는 정부의 반헌법적 의지 표현은 개탄스럽다"며 "지금이라도 우리의 요구에 대해 전향적으로 논의하고 수용하라"고 주장했다.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대해선 "민주노총 주관 행사에서 코로나19 확산이 이뤄진 적 있느냐"며 "근거도 없는 감염병 확산 우려를 들먹이며 언제까지 노동자들의 고통과 절규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할 것인지 묻고 싶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비정규직 철폐, 노동법 전면 개정, 산업 전환기 일자리 보장, 주택·교육·의료·돌봄·교통 공공성 강화 등을 요구하며 오는 20일 10·20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민주노총은 총파업에 전체 조합원의 절반인 약 55만 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총파업 당일에는 서울 등 수도권 조합원만 서울 도심에서 파업대회를 진행하고, 나머지는 지역 단위로 집회를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