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중국인 관광객' 떠난 홍콩 거리…"럭셔리매장 줄고 식당 늘고"

블룸버그 통신 "홍콩 전역 식당 9% 늘고 보석상·옷가게 등 5곳 중 1곳 닫아"

12일 홍콩의 한 슈퍼마켓에 태풍
12일 홍콩의 한 슈퍼마켓에 태풍 '곤파스'에 대비해 생필품 등을 구매하려는 시민들이 줄지어 서 있다. 홍콩 기상대는 이날 저녁 곤파스로 인해 태풍 8단계 경보를 발령했다. 홍콩은 10단계로 구성된 태풍 경보에서 8단계 이상일 때 직장·학교 폐쇄조치를 내린다. 연합뉴스

민주화 운동과 코로나19 유행에 홍콩을 찾는 중국 관광객이 크게 줄자 홍콩의 번화가 구성도 크게 바뀌고 있다. 쇼핑 관광 매출이 줄면서 럭셔리 매장이 사라지고 현지인 방문객을 위한 음식점이 늘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18일(현지시간) 과거 한때 홍콩 쇼핑가를 장악했던 럭셔리 매장들이 줄어든 대신 현지인이 즐겨 찾는 식당과 술집이 늘었다고 보도했다.

부동산 중개회사인 미들랜드 IC&I 집계에 따르면 홍콩 민주화 시위 이전인 2018년 3분기부터 최근까지 홍콩 전역에서 중국 관광객을 주 고객으로 하던 보석상, 약 가게(드러그스토어), 생필품점, 옷가게, 가죽제품 상점이 5곳 중 1곳 꼴로 문을 닫았다.

같은 기간 식당과 식료품점은 약 9% 증가했다.

이는 가장 번화한 일부 쇼핑 지역에서도 비슷한 분위기로 나타났다.

한때 중국 관광객에 인기 있던 카오룽(九龍)반도 쇼핑가 사이영초이(西洋菜) 남쪽 거리는 같은 기간 6개의 레스토랑과 술집이 새롭게 문을 열었지만, 화장품 등 개인용품 판매점 12곳은 문을 닫았다.

홍콩 중심부 퍼시벌 거리에서도 2018년 3분기 이후 5곳의 시계·귀금속상이 폐점한 반면, 1개의 음식료점이 생겨났다.

앞서 중국 정부에 맞선 시위를 실시한 뒤로 홍콩 방문객의 최대 원천인 중국 여행객이 순식간에 급감했다. 시위가 가라앉은 이후에도 이들은 21일간 격리 조치 등을 포함한 홍콩 당국의 '코로나 무관용' 대책을 이유로 돌아오지 않고 있다.

중국 국경절인 1일 홍콩에서 경찰이 오성홍기와 홍콩기를 게양하고 있다. 이날은 신중국 건국 72주년을 기념하는 국경절이다. 연합뉴스
중국 국경절인 1일 홍콩에서 경찰이 오성홍기와 홍콩기를 게양하고 있다. 이날은 신중국 건국 72주년을 기념하는 국경절이다. 연합뉴스

블룸버그 통신은 '홍콩 정부는 중국과의 국경 봉쇄를 완화하려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더 광범위하게 다시 문을 열지 않는 한 홍콩은 싱가포르, 런던 등 세계의 다른 금융·쇼핑 중심지에 뒤처질 수도 있다'고 해설했다.

홍콩 상점가는 기존의 중국 관광객 중심 마케팅을 줄이고 740만 홍콩 현지인 수요를 잡고자 나서고 있다. 홍콩 국민들 역시 도쿄, 방콕, 파리 등으로의 해외 여행이 발 묶이면서 자국 내 소비방법을 찾는 분위기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의 에밀리 렁 애널리스트는 "정치적 우려에 따른 중국 관광객의 홍콩 여행 회복 부진과 온라인 쇼핑의 도전을 고려하면 중국과 국경을 다시 열고 중국 관광객의 방문이 재개돼도 이 같은 변화는 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중국 관광객들이 이전에는 고가의 럭셔리 제품 등 쇼핑을 위해 홍콩에 왔다면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이미 온라인 채널을 찾았을 것"이라며 "향후 3∼4년간 홍콩 소매업에서 홍콩 현지 소비의 비중은 계속 이전보다 더 커질 것이다. 관광객들 소비도 회복되겠지만, 2018년 수준으로 돌아가기는 상당히 어려울 것"이라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