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탄소중립 목표 고려, 원전 유지·확대" 전문가 95%

전경련, 에너지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에너지 전문가들 상당수가 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고려할 때, 원전 비중을 유지하거나 확대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0일 에너지 관련 학회(한국에너지학회, 한국자원경제학회, 한국원자력학회) 회원 116명을 대상으로 2030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와 탄소중립 정책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시행한 결과 이와 같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지난 8월 국회가 통과시킨 탄소중립기본법은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8년 대비 35% 이상 감축할 것을 명시하고 있으며, 대통령 직속 탄소중립위원회는 산업 부문의 탄소 배출량을 2018년 대비 79.6% 감축한다는 내용의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18일 발표했다.

이와 관련 에너지 전문가 69%는 탄소중립기본법에 명시된 2030 NDC가 과도하다고 답했고, 탄소중립위원회가 지난 8월 공개한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산업부문 감축안에 대해서는 79.3%가 과도하다는 의견을 표명했다.

2030 NDC의 상향 조정이 국가 경제 전반의 국제적인 경쟁력에 미칠 영향을 묻는 항목에는 89.7%가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한다는 반응을 보였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정유업과 제조업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예상하는 전문가가 각각 92.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시멘트(91.4%), 철강(89.7%), 자동차(68.1%), 반도체(67.2%)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또 2050 탄소중립 목표를 고려하면 원자력 발전 비중을 확대(79.3%)하거나 유지(15.5%)해야 한다는 응답은 94.8%에 달했다.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로는 '재생에너지, 원자력 등 무탄소 에너지원의 확대와 적절한 조합'이라는 응답이 40.8%로 가장 많았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2030년까지 획기적인 탄소 감축 기술과 수소·암모니아 등 신에너지를 도입하기 어려운 만큼 무탄소 전원인 원자력 발전의 비중 확대, 탄소 감축 기술 개발에 대한 지원 강화 등 현실적인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