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오징어게임'의 전세계적인 흥행에 저작권 침해 문제를 교묘히 피해간 외국 기업들이 이익을 챙기고 있다. 중국 기업들은 오징어게임 상품 주문제작으로 특수를 누리고 있고, 베트남과 러시아 등 게임 개발사들은 '카피게임'을 내놓으며 인기몰이 중이다.
23일 모바일 데이터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 순위 분석에 따르면 베트남·러시아·이스라엘 게임사가 제작한 오징어게임을 본 딴 카피 게임이 주요 국가서 인기를 끌고 있다. 구글플레이스토어 인기게임 순위 상위권에는 베트남 게임사 욜로게임스튜디오가 제작한 '456:서바이벌', 이스라엘 콥게임즈스튜디오의 '쿠키 카버', 러시아 게임사 이들모글이 개발한 '캔디챌린지3D' 등이 그 예다.
해당 게임은 국내 기준 인기게임 상위 5위 중 3개, 미국과 일본서 2개를 차지하며 흥행 중이다. 이들은 '달고나 게임',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줄다리기', '유리다리 건너기' 등을 오징어게임 속 생존 게임을 모바일로 구현한 점이 특징이다. 게임 대부분이 오징어게임이 큰 인기를 끌었던 10월 중순 출시됐다.
넷플릭스가 정식 서비스 되지 않은 국가인 중국도 오징어게임 수혜를 얻고 있다. 오징어게임이 인기를 끌면서 관련 상품(굿즈)를 제작하는 중국 기업들이 특수를 맞은 것이다.
국내를 비롯한 주요 해외국가서도 상위권에 고루 위치하면서 수익 또한 상당할 것으로 예측된다. 구글이나 애플 등 앱마켓 사업자는 저작권 침해로 간주되는 게임을 내리는 등 제재 권한이 있다. 그러나 이들 게임은 오징어게임을 연상케하는 표현을 쓰지 않으면서 교묘히 저작권 감시망을 피한 것으로 보인다.
정작 국내 제작사는 넷플릭스와 계약구조에 따라 220~240억원 사이 제작비를 받은 뒤, 인기에 따른 추가적 인센티브는 얻지 못하는 실정. 재주는 한국이 부리고 이와 무관한 국가에서 수혜를 누리는 상황이 펼쳐지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