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 당시 '대 시민 발포' 책임 관련 진상을 알 법한 노태우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나자 광주 시민사회 민심이 뒤숭숭하다. '개인의 죽음은 안타깝지만 역사 청산을 제대로 하지 않은 것은 책임이 크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5·18 기념재단 측은 26일 노 전 대통령 서거 소식에 "노 씨는 5·18 진상규명의 핵심인 발포 책임자를 밝히는 중요한 인물이었다"며 "진상규명을 위해 자신이 분명히 고백할 부분이 있는데 그러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아들) 재헌 씨를 보내서 계속 대리 사죄하도록 했지만, 그 역시도 노 씨 본인의 의도인지, 국립묘지 안장을 위한 아들의 욕심이었는지 의구심이 들던 상황이었다"며 "이제 그 진위조차 확인할 길이 없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노 전 대통령 아들 재헌 씨가 그를 대신해 광주를 여러 차례 방문해 사죄의 뜻을 전했다. 이에 한때 용서와 화해의 분위기가 형성됐다.
그러나 이후 5·18 관계자들이 재헌 씨에게 "5·18을 왜곡한 노 씨의 회고록을 수정하고 진상규명을 위한 관련 자료 제출 등 진상 규명에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또 재헌 씨가 매번 "개인적 일정"이라며 광주 방문을 공식화하지는 않으면서 자신의 방문 소식을 슬그머니 언론을 통해 흘리는 듯한 모습도 그의 진정성을 의심케 하는 요인이 됐다.
이에 5월 단체는 "과거를 바로잡으려는 자세가 보이지 않는다"고 강하게 반발하며 "국립묘지 안장을 위한 보여주기식 반성 쇼"라고 규정한 바 있다.
이날 5·18 기념재단 측은 "노 씨가 숨졌다고 해서 5·18의 진실은 사라지지 않는다"며 "진상 규명은 끝까지 계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미 5월 어머니집 사무총장도 "노태우 정권 시설 5·18을 민주화운동이라고 규정했던 것은 의미 있었다"면서도 "하지만 진상규명이나 책임자 처벌의 시각에서 보면 학살 주범이기 때문에 용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노 씨가 진정 사죄할 마음이 있다면 병환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노 씨를 위해 우리가 직접 병문안을 가 만날 의향도 있다는 마음을 전했지만 이뤄지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김 총장은 "죽기 전에 사죄가 이뤄졌으면 좋았을 텐데 그렇지 않은 이상 국립묘지 안장에는 절대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노태우 정권 때 민주화를 외치며 분신한 민주열사 관계자들 역시 안타까움을 드러냈다.
"노태우 처단" 등을 외치며 분신 항거한 박승희 열사 정신계승사업회 오창규 회장은 "개인은 사망해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는지 모르겠지만 그 후예들은 아직 이 땅에 남아있다"며 "분신정국 당시 역사 앞에서 쓰러져갔던 열사들 앞에 아직도 반성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늘 노 씨의 사망을 계기로 박 열사가 분신한 그날을 떠올린다"며 공권력 앞에 쓰러졌던 청춘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으려면 여전히 우리 앞엔 민주주의와 개혁, 통일 등을 위한 과제가 남아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