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대도시권 내 광역철도 연장이 3배 이상 확대돼 주요 선진국 수준의 광역교통망이 구축되고, 수소·전기 광역버스로 100% 전환되는 등 광역교통 서비스가 개선된다.
국토교통부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향후 20년(2021년~2040년)간 광역교통의 목표와 추진전략을 제시하는 '제2차 대도시권 광역교통기본계획'이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28일 최종 확정된다고 27일 밝혔다.
이 계획은 '여유로운 일상과 권역의 상생발전을 이끄는 광역교통'이라는 비전을 토대로 향후 교통수요 전망과 미래 메가트렌드를 고려한 4가지 추진전략 및 과제를 제시했다.
먼저 광역통행 기본권 확보를 위한 인프라를 확충한다. 대도시권 광역철도망을 선진국 수준으로 만들고, 도로의 간선기능을 회복해 대도시권 내 30분대 생활권을 실현한다는 게 핵심이다.
대구 등 비수도권 내 거점 간 광역철도를 적극 확충해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 순환도로망 확대, 지하도로 등을 통해 대도시권 내 도로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광역교통축의 혼잡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기로 했다. 아울러 저비용 고효율 교통수단과 환승센터를 확충해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환경을 조성한다.
광역교통 운영체계도 이용자 중심으로 개선한다. 광역버스 노선 확대와 증차운행 지원, 프리미엄 광역버스 도입으로 출퇴근 혼잡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다양하고 합리적인 광역교통 요금체계를 구축하고, 이용자 중심의 광역교통 서비스 평가를 도입하는 방안도 들어 있다. 구체적으로 수도권과 지방대도시권 일부에서 운영 중인 통합환승할인제를 2030년 전국으로 확대하고, '지역 맞춤형 알뜰교통카드'를 도입해 이용자 선택권을 넓히기로 했다.
친환경‧스마트 교통시스템 구축에도 나선다. 올해부터 운행을 시작한 2층 광역전기버스 운행대수를 2040년까지 600대로 확대하는 등 2040년까지 광역버스를 수소·전기 등 친환경 연료 차량으로 100% 전환한다는 구상이다. 자율주행 BRT(간선급행버스체계)·광역버스는 2025년부터 단계적으로 상용화하고, 철도·광역버스까지의 접근성 제고를 위한 자율주행 셔틀을 2026년 도입한다.
특히 광역교통 빅데이터를 활용·분석해 실효성 있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 수립을 지원하며, 관련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사안별 협의체를 구성·운영하는 등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교통 거버넌스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번 계획에서 제시된 목표와 추진전략은 5년 마다 수립되는 시행계획과 BRT나 환승센터 같은 부문별 계획을 통해 구체화된다.
김규현 대도시권광역교통본부장은 "이번에 제시한 비전과 중장기 추진전략을 기반으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